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수소·전기차로의 자동차 패러다임의 변화가 ‘자동차 도시 울산’에 미칠 영향은 가늠조차 어렵다. 단일 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현대자동차 공장이 울산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걱정스러운 곳은 부품업체들이다. 울산지역 520여개 부품업체들은 산업생태계 전환에 노심초사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자동차산업연합회 주최로 열린 제10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에서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미래차용 부품 생산·개발 체계로 전환한 업체는 39.6%이다. 그 중 연 매출 500억 이하 중소부품업체는 16.1%에 불과하다. 정부는 사업재편지원단을 만들어 오는 2030년까지 1000여개의 부품기업을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시키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세계적 미래차 전환의 속도를 따라잡을 수 있을지는 장담하기 어렵다. 더 서둘러야 할 필요가 있다.

울산시는 5일 시청 상황실에서 경제사회노동화백회의를 갖고 정부의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선정 촉구 건의문’을 채택했다. 울산지역 노사민정 대표 24명의 모임인 화백회의가 자동차부품산업 위기에 따른 지역경제 및 고용시장 충격을 우려하고 건의문 채택을 통해 국가적 차원의 선제대응을 촉구한 것은 잘한 일이다.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은 고용위기 우려 지역이 지역주도 일자리 사업을 발굴·제안하면 정부가 중장기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신설했다. 매년 40억~140억원 범위에서 최대 5년간 지원을 받게 된다. 고용위기가 발생한 이후 지원하는 고용위기지역 지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조선업 위기에 따른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돼 있는 동구지역은 몇차례 지정을 연기해왔으나 위기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자동차산업 관련 위기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이유다.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부품산업 생태계 충격은 조선업 대비 4배 이상에 이른다는 것이 울산시의 예상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0월말 현대차 울산공장을 찾아 수소차시대를 선언하면서 밝힌대로 ‘울산은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의 심장부’다. 당연히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의 가장 우선 대상이 돼야 한다. 심장이 마비되면 살아남을 수가 없는 것은 자명하다.

우리가 흔히 ‘미래차’라고는 하지만 그 미래는 결코 머지않다. 현재진행형이다. 문 대통령은 “2022년을 미래차 대중화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했다. 코앞에 닥친 미래차의 대중화가 부품업체들의 일자리와 함께 하지 못한다면 ‘자동차도시 울산’의 미래는 없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