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가야를 건국한 김수로왕의 부인 허황후는 인도 사람이 아니다."

 김해문화원(원장 홍관표)이 30일 국립김해박물관에서 "맹주로서의 금관가야와 대가야"를 주제로 마련한 제8회 가야사학술회의에서 이영식 교수(인제대 인문학부)는 "대가락과 대가야의 건국신화"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허황후가 인도 아유타국에서 온 것이 아니라 평안도나 황해도에서 김해로 온 이주민 출신이라는 주장을 제기해 관심을 모았다.

 〈삼국유사〉 "가락국기"는 허왕후는 인도 아유타국에서 왔고 허왕후가 한의 호화로운 여러가지 문물인 한사잡물을 싣고 왔다고 적고 있다.

 그러나 이교수는 "현재까지 김해지역의 고고학조사에서 인도계통 유물 및 유적이 확인된 적이 없고 이를 보완할 만한 문헌자료적 증거도 없다"고 말했다.

 또한 "허왕후가 갖고 온 물품은 김해 회현리 패총, 양동리와 대성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한나라 양식의 중국식 거울, 세발 달린 청동솥, 통용되던 화폐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며 "이는 낙랑 등 한4군이 위치한 서북한지역인 평안도나 황해도지역의 선진문물로 추정돼 허왕후는 이 지역의 지배계급 출신으로 김해에 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 근거로 이 교수는 금관가야 건국년도인 서기(AD) 42년 당시 평안도 지역에는 한4군이 있었고 AD 40년까지 한나라 화폐가 통용된 점, 김해가 AD 3세기까지 동북아시아 교통로의 중심지로 북방민족의 이주가 많았다는 점을 각각 꼽았다.

 이교수는 "가락국기 편찬년도인 1076년(고려 문종)은 불교가 가장 성행했던 시기였던 점을 감안하면 허왕후의 인도출신설은 불교발생지인 인도에서 허왕후를 연결해 불교의 이상향인 가락국에서 허왕후가 출발한 것으로 윤색된 결과로 보는 것이 옳을 것같다"고 말했다.

 이번 학술회의에는 그밖에도 이성주씨(경남발전연구원)가 "고고학에서 본 금관가야의 국가적 성격", 이영식씨(인제대 교수)가 "대가락과 대가야의 건국신화", 조영제씨(경상대 교수)가 "고고학에서 본 대가야연맹체론", 이형기씨(고령군)가 "우혁십이곡의 상가라도·하가라도"(于革十二曲의 上加羅都·下加羅都)를 발표했다. 정명숙기자 jms@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