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가람 사회부 기자

인력난에 시달리는 조선업계에 정부 차원에서의 해법 마련이 절실하다.

오랫동안 지지부진하던 국내 조선업계가 올해 대규모 수주를 따내며 선전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업계는 올해 상반기 전 세계 선박 수주량 2402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 가운데 43% 수준인 1047만CGT를 수주했다. 울산 동구에 자리한 현대중공업은 상반기 60억4000만달러(50척) 규모의 선박을 수주했다.

올 하반기부터 조선업 수주 물량이 현실화될 것을 감안하면 지역에만 당장 5000여명에 달하는 기술인력을 수급해야 하는데 쉽지 않다.

주 52시간 근무제도로 추가근무를 통한 잔업 수당 등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면서 임금이 30% 정도 감소했다는 점이 주된 이유다. 개정 전에는 최대 68시간 근로가 가능했다. 이에 업무 강도에 비해 벌이가 적어지면서 20~30대 젊은 층의 유입이 떨어지고 있다.

거기에 외국인 근로자 채용 규제까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정부는 국내 조선업의 자국민 일자리 확보를 위해 외국인 근로자 채용을 제한하고 있다.

각종 규제로 업계에서는 한국인은커녕 외국인조차 고용하기 힘들다고 호소하고 있다.

협력업체 관계자들은 “젊은이들은 카페에서 일하지, 굳이 힘든 조선소에서 일하냐는 분위기다”면서 “젊은 층 유입이 힘들다면 외국인이라도 많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입을 모은다.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현대중공업과 지자체 등에서도 방법을 강구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책 없이는 묘수가 보이지 않는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정부 차원에서 주 52시간 근무제, 외국인 근로자 채용 규제를 완화하는 등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해주지 않는다면 간신히 살아나는 조선업이 다시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최근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단체에서도 조선업계에 주 52시간 근로제 계도기간을 부여하거나 추가 연장근로제 대상 확대 등의 제도 보완을 요구하기도 했다. 조선업은 인력난, 원자잿값 급등 등으로 고통 받고 있는 데다,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주 52시간제를 맞춤형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조선업 회복세는 이미 시작됐다. 앞으로도 수주랠리가 지속될 지는 알 수 없으나, 적기에 인력을 수급할 수 있도록 정부의 세밀하고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김가람 사회부 기자 grk218@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