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충학습을 하긴 해야겠는데 하고 싶은 사람만 남으라고 하면 얼마나 남겠습니까. 한 학년에 한 반이라도 채울 수 있을 지 걱정입니다."
 "0교시와 보충수업, 야간자율학습이 학생선택권이 무시되고 강제적으로 이뤄지면서 학습분위기를 해치는 것은 물론 학생들의 건강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원하는 학생에 한해 실시하는 게 마땅합니다."
 교원단체, 시민단체, 학부모, 교육청 등 교육계는 물론 시민단체까지 기자회견을 자청해 발표하는 "갑론을박"이다. 급기야 인권문제로 까지 발전되고 있어 점입가경이다.
 이는 정부의 2·17 사교육비 경감책이 발표되면서 그동안 암행적으로 이뤄지던 보충학습과 야간자율학습 등 방과후 수업이 "자율적 실시"라는 단서를 달고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논란의 불씨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같은 자율적 실시의 원칙은 그야말로 원론이다. 피교육자인 학생들이 교육, 학교라는 곳을 애초부터 가고싶어서 간 게 아니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가족의 일원으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제역할을 하기 위해 반강제적으로 학생이 된 점을 알아야 한다.
 "교육이라는 게 근본적으로 강제성을 띨 수밖에 없는 것 아닙니까. 놀고 싶지, 스스로 알아서 공부를 하고 싶어 하는 학생이 몇이나 있겠습니까. 학부모와 학생의 선택이 다를 때는 교육권을 위임한 학부모의 선택에 따르는 게 마땅합니다"라는 게 가르치고 육성하는데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 측의 주장이다.
 그렇다고 강제적으로 모두 참여시키자니 "자율적 실시"라는 원칙에 위배될 뿐 아니라 학생과 교직단체들의 반발도 만만찮다. 학교현장에서 볼 때 "자율"이 바로 족쇄인 셈이다. sgij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