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찬희 울산 울주군
▲ 한찬희 울산 울주군

코로나19 사태 장기화 및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부정부패 및 비윤리적 행위가 증가하고 있다. 부정부패의 감시기능이 약화되면서, 소득감소에 대한 보전,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온갖 비윤리적인 수단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

청렴과 윤리적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이 이렇게 어려운 것일까? 반부패, 재벌구조 개선, 양극화 해소, 동반성장과 같은 말들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부정부패, 불공정 행위로 인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격차와 갈등이 심화하고, ‘너도 살고 나도 사는’ 상생의 주고받음이 아닌 약자에 대한 배려 부족, 일방주의나 이기주의가 만연해 있다는 것을 방증(傍證)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부패 방지 관련법들은 모든 공직자의 법령준수와 함께 일체의 부패행위, 품위손상 행위를 금지하도록 청렴 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모든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행동강령을 제정, 시행하도록 하여 청렴 사회윤리 확립과 부패방지 노력의 책무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행정력 손실과 예산 낭비를 애초에 차단하는 자정 노력을 촉구한다.

일반 기업에 대해서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기업 윤리 헌장이나 행동강령과 같은 각종 윤리 매뉴얼에는 단순히 반부패, 청렴과 같은 소극적인 실천을 넘어 건전한 윤리사회, 지속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윤리, 신뢰, 공정 관계와 실천을 강조한다.

기업은 이윤 창출 관점에서 더 나아가 윤리경영, 사회적 책임경영으로의 변화를 강조해 왔다. 그러나, 일부 권력을 가진 실세들과 연루된 각종 인허가 비리와 거액 금품수수, 청탁 알선 등은 기업 내부 윤리경영 실패는 물론, 사회갈등을 조장하고 건전한 풍토 조성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부정비리는 그 특성인 은밀함과 폐쇄성 그리고 교묘한 수법의 진화 발전으로 말미암아 이를 조직 외부에서 발견되는 사례는 그다지 많지는 않다. 업무도 다양화, 전문화, 복잡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같은 조직에서 오랫동안 근무하면 고유영역이 정해지고, 집단적인 심리가 작용하면 무책임한 행동을 별거 아닌 것으로 방치하는 악습의 소지가 있다. 여기에 주변인들이 함구하거나, 온정주의로 짚고 넘어가지 않는다면 부정의 악순환에서 빠져나오지 못할 것이다.

윤리경영은 ‘윤리’와 ‘경영’의 합성어로 조직 운영의 기준을 윤리적 가치관에 두고 실천하자는 것이다. 윤리경영은 단순히 법규를 준수하는 것 이상의 도덕 가치와 사회적 책임 이행을 요구한다. 윤리경영은 조직 내 각 구성원의 창의성을 키우고, 거래처, 주주와 같은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상생과 동반성장, 신뢰 구축을 증진 시킨다. 더 나아가 경제사회 생태계에서 악순환을 선순환 구조로 변화시킴으로써 지속적인 성장과 동시에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촉진시키는 윤활제 역할을 한다.

각계 각 분야에서 도덕성이 해이해지고, 불법적 자세로 일삼는 부정부패 행위를 막지 못한다면 선진사회로 가는 길은 멀어질 뿐이다. 반부패 정책을 재정비하고 일관성 있게 실천하여 기초가 튼튼한 경제를 만들고 성숙한 청렴 사회로 만들어 가야 한다. 부정부패로는 돈을 벌 수 없고, 반드시 처벌된다는 인식이 우리 사회 깊숙이 뿌리내려져야 하겠다.

조직 내 윤리 수준은 그 리더들의 윤리 수준을 넘을 수 없다는 말이 있다. 리더라는 지위가 다른 사람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리더는 윤리적으로 무장되고 더 큰 윤리적 책임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윗물이 맑아야 하는 절박한 이유이기도 하다. 최근 우리 경제사회에서의 격차 갈등과 소득 양극화 문제의 해법을 찾기에 앞서 우선 각계각층의 리더들이 청렴 마인드로 무장하고, 몸소 윤리경영 실천에 앞장서야 하겠다.

한찬희 울산 울주군

(※외부원고는 본보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