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에 ‘탄소 포집·저장 실증 공모’ 유치계획서 제출
“가장 가깝고 파이프라인 보유한 석유공사 있어 최적지”
지진·환경피해 우려, 안전성 검증 국책센터 구축 건의

울산광역시청 / 자료사진
울산광역시청 / 자료사진

울산시가 지난해 12월 LNG 채굴을 종료한 뒤 폐쇄된 동해가스전을 활용하는 1조원 규모의 탄소 포집·저장 실증 공모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시는 세계 최초로 가스전 폐쇄 동공에 이산화탄소를 밀어 넣는 신기술을 적용해 탄소 중립의 새로운 지평을 연다는 계획이다.

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탄소 포집·저장 중규모 실증 기반 구축 사업’ 공모에 유치 계획서를 제출했다고 22일 밝혔다.

산업부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2050 탄소 중립 시나리오 실현을 위해 약 1조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하기에 앞서 공모를 통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함께 수행할 지자체를 선정하기로 했다.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개 사업이 운영 중인데, 대염수층 저장과 석유 회수 증진 기법 등을 주로 적용된다. 이 사업처럼 채굴이 종료된 가스층 폐쇄 동공을 이용하는 사업은 세계 최초다.

실증 사업에서는 산업체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분리·포집한 뒤 액화시켜 파이프라인이나 선박을 활용해 이송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한다. 이송된 이산화탄소는 동해가스전의 폐쇄 동공에 주입해 저장한다. 이를 통해 대기 중에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게 사업의 목표다.

동해가스전 폐쇄 동공의 저장 추진 용량은 연간 40만t으로, 30년간 총 1200만t을 저장한다.

공모는 ‘포집-액화-임시 저장 기반 구축’과 ‘실증 기술 개발’로 이원화돼 추진된다. 사업비는 각각 7000억원대와 2000억원대로 약 1조원 규모에 달한다.

시는 ‘포집-액화-임시 저장 기반 구축’과 실증 기술 개발 중 안전성 검증 분야에 도전한다.

시는 동해가스전에 가장 가까운 지자체이며, 사업의 주체 중 하나이자 동해가스전과 연결된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한국석유공사가 울산에 위치한 만큼 울산이 사업의 최적지라고 판단하고 있다. 석유화학·정유업체 등 다탄소 배출 업종인 지역 기업들이 ESG 경영을 위해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점도 장점으로 꼽고 있다.

특히 탄소 포집·저장 과정에서 지진 위험성은 물론 이산화탄소 누출에 따른 환경 피해 가능성이 제기되는 만큼 안전성 검증을 위해서라도 조성지인 울산에 안전성을 검증할 국책센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산업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시는 공모에 선정되면 산업부와 함께 예타를 수행하게 된다. 빠르면 연내, 늦어도 내년 상반기 중에는 예타 대상 사업 선정을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예타를 통과해 사업을 추진할 경우 시는 기술·운영상의 노하우를 확보해 탄소 포집·저장 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가 1억t 규모의 대규모 저장소 확보 계획을 세운 만큼 중규모 실증 사업을 통해 확보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산화탄소 포집의 경우 탄소배출권을 2배로 인정하는 만큼 연간 운영에 따른 손익분기점도 쉽게 넘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자체 선정을 위한 평가 절차에 적극 대응해 공모 사업에 반드시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