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갑성 편집국 양산·기장본부장

경남 양산지역 예술인들의 창작공간 확보를 위해 막대한 사업비를 들여 조성한 한송예술인촌이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국비와 도·시비 등 거액을 투입, 건립해 놓고도 장기간 사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산시는 지난 2005년 하북면 초산리 일대 야산 17만3000여㎡에 국·도·시비(113억원)와 민자(381억원) 등 500여억원을 들여 한송예술인촌 조성에 들어갔다.

한송예술인촌에는 거주 공간이 포함된 예술인 창작동 53곳을 비롯해 종합전시관(한송아트홀), 야외 공연장, 조각공원 등이 들어섰다. 도로와 상·하수도 등 기반 시설과 종합전시관은 시가 건설하고, 창작동 등은 입주 예술인들이 부지를 매입해 건축했다.

한송예술인촌 조성 목적은 지역 예술인에게 창작공간을 제공, 창작 모습을 개방하고 통도사와 연계한 관광시설로 발전시키는 데 있다.

하지만 사업 승인이 난 지 17년이 지나도록 도로 등 토목공사만 준공됐을 뿐 전체 예술인촌의 사용승인은 지금까지 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양산시가 예술인촌 전체를 지적측량한 결과 실시계획인가 면적이 2200㎡가량 초과한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한 ‘해법’ 도출이 쉽지 않다.

현재 한송예술인촌은 전체 사업 준공승인을 받지 못한 채 임시사용승인을 받아 시설물을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창작동 53곳 중 임시사용승인을 받은 곳은 7곳에 불과하다. 예술인촌 전체적으로도 창작동을 포함한 전체 64개동 중 10개동만 임시사용승인을 받아 사용하고 있다. 양산시가 현지 실태를 점검한 결과 상시 개방이 이뤄진 곳도 전체 창작동 53곳 중 30곳 정도에 불과했다. 또 예술인촌이 경사가 심한 곳에 위치한 데다 주택형태로 지어져 도보로 관람이 어려운 구조로 조성된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현재로서는 문제 해결을 위한 해법 도출이 쉽지 않다. 양산시는 초과 면적 부분을 원상 복구하는 등 선 조처가 이뤄져야 사용승인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인 반면 입주 예술인들은 “입주 예술인들도 상당 금액을 투입, 문화예술 활동에 열중하고 있다”며 “사업승인 지연 등의 문제로 예술인들에게만 비판의 화살이 몰리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문제는 초과 토지 부분에 일부 구조물이 들어섰기 때문에 원상복구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데 있다. 문제 해결의 초점이 원상복구에 맞춰지는 한 해결이 요원한 것이다. 양산시가 암초로 작용하고 있는 초과 조성 토지에 대한 해결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지만 문제 해결이 쉽지 않다.

양산시와 한송예술인협회가 한 발짝씩 양보하는 현실적 대안을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양산시는 도시계획시설 변경 승인을 통해 초과분 토지를 유원지 시설지구로 추가하는 등 현실적 조처를 검토하고, 한송예술인촌 역시 입주예술인들이 창작촌을 개방해 시의 관광 시설화에 협조하는 등 상호 협력이 이뤄져야 사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이 문제 해결의 핵심으로 보인다.

김갑성 편집국 양산·기장본부장 gskim@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