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정치권 압박 해석

시중은행들이 앞다퉈 각종 수수료를 없애거나 줄이고, 대출금리도 스스로 낮추고 있는 분위기다.

코로나 이후 급증한 대출을 바탕으로 달성한 사상 최대 이익, 금리 상승기에 커진 예대 금리차 등에 대한 여론의 눈총이 따가운 것을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이 “은행은 공공재”라며 공익을 강조한 것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오는 10일부터 시중은행 최초로 만60세 이상 고객의 창구 송금수수료를 전액 면제할 계획이다.

신한은행은 앞서 지난달 1일부터 모바일뱅킹 앱 ‘뉴쏠’과 인터넷뱅킹에서 타행 이체 수수료, 타행 자동 이체 수수료를 전액 면제한 바 있다.

이후 KB국민은행도 같은 달 19일부터 모바일·인터넷뱅킹 타행 이체 수수료를 없앴고, NH농협은행도 비슷한 시점에 모바일 뱅킹 이체 수수료 면제를 발표했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도 각 오는 8일, 10일부터 모바일·인터넷 뱅킹 타행 이체 수수료를 받지 않을 예정이다.

은행권은 취약차주에 대한 지원도 늘리고 있다.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지난해 말 취약 차주의 중도상환 수수료를 1년간 한시적으로 면제하는 데 합의했다.

대출 금리도 일제히 낮추고 있다. 특히 개별은행이 임의로 덧붙이는 가산금리를 줄이면서 실제 대출금리 하락 폭이 시장(채권) 금리나 코픽스 등 지표 금리의 하락 폭보다 훨씬 크다.

은행권의 이 같은 태도 변화에는 금융당국과 정치권의 압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