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재개발 붐이 일면서 복산동, 북정동 등지의 주민들이 컨설팅 업체들의 동의서 징구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난감해하고 있다.
 과연 사업성 있어서 이렇게 덤비는 건지, 아니면 붐만 일으키고 빠져나가려고 하는지 불안이 앞선다. 더구나 동의서를 한장도 아닌 두장을, 그것도 인감을 찍어서 줘야 한다니 망설여지지 않을 수 없다. 먼 친인척까지 동원해 이것 저것 물어보지만 별 신통한 대답은 나오지 않는다.
 주택재개발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시행되는 것으로, 일단은 사업성이 있어야 시공사도 나타나고 주민들도 좋아진다.
 그렇다면 울산 중구의 사업성은 어떠한가.
 주택을 허물고 대단지 아파트를 짓는 것이 이번 중구 재개발의 기본 구상이지만 울산은 서울처럼 아파트 수요가 높지 않다. 울산은 유동인구가 많아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전국에서 1~2위를 다투고 있다.
 인구는 10년 동안 자연증가율에도 못미치는 수준인데다 곳곳에 민간택지개발사업이 사업성 부족으로 방치돼 있다.
 최근에는 아파트 건설공사가 잇따라 일부에서는 미분양 사태도 속출하고 있다. 여기다 그린벨트까지 조정돼 택지가 남아도는 실정이다. 울산의 땅은 서울의 1.8배다.
 기본적으로 주택재개발은 비좁은 땅에 택지가 없어 땅효율이 극대화됐을 때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다.
 주민들이 극도로 불안해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실정 때문이다. 자칫 주민들간 불화와 정서파탄만 조장하고 물거품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것이다.
 재개발준비위나 컨설팅업체, 나아가 관할 중구청은 보다 명확한 청사진을 제시해 주민들의 고민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 jmlee@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