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현대중공업과 경북 포항시가 투자협정 양해각서를 체결하던날 경북도청 광장에는 현대중공업 사기(社旗)와 도기(道旗)가 나란히 걸렸다.
 `세일즈 경북'을 도정목표로 기업유치에 심혈을 기울여온 경북도는 현대중공업 블록공장의 도내유치가 성사되자 감사와 예우의 뜻을 이렇게 표시했다.
 허남식 신임 부산시장은 7일 취임회견에서 "지역경제를 위해 꼭 필요한 경우 땅을 무상으로라도 제공, 기업과 자본을 유치하겠다"고 말했다. 경제시장이 돼 시 예산을 과감히 투입, 분양가를 낮춰 "기업하기 좋은 부산"을 시정의 최우선 정책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박준영 전남지사도 취임회견에서 "국내외 자본과 기업유치, 일자리 창출을 도정의 최우선에 두겠으며 낙후된 전남경제의 활로를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울산지역 조선업체를 중심으로 한 "기업 탈울산" 현상은 바다를 끼고 있는 이들 광역단체의 사활을 건 기업유치전과 무관하지 않다.
 이들 지역은 울산이 안고있는 부지조성비용 등 여러 "한계"를 절묘하게 파고들며 기업이 솔깃할 인센티브를 제시, 유치전에 나서고 있다. 전남과 부산의 부지임대료는 연간 평당 1천몇백원, 경북 포항의 분양가도 울산의 절반수준인 20만원정도다.
 울산시도 뒤질세라 부지조성때 시비지원과 직접시행 등을 통해 조성단가를 대폭 낮추는 "당근"을 내놓았지만 아직 기업이 느끼는 체감지수는 기대치에 못미친다.
 기업의 잔류와 이전은 상대성을 갖고있고 영리를 위해 경제성을 안따질 수 없다. 때문에 기업잔류를 위한 근본처방을 내놓지 못하면 "탈울산"을 막을 재간도 없다.
 행정관청과 시민들이 지금보다 더 큰 위기의식을 갖고 대처하지 못하면 울산은 타지역 기업유치전의 "희생양"이 될 수도 있다. choo@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