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문화·관광 산업을 기존 주력산업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산업과 함께 ‘투 트랙 전략’으로 육성하려는 울산시의 관광도시 전략이 차질을 빚고 있다. 해수부가 전국 해안을 연결해 관광벨트로 조성하는 해양레저관광 거점 공모사업에서 울산과 경남·부산 해안을 배제하는 결정을 내렸기 때문이다. 특히 해수부는 전체 거점의 절반 가량을 ‘서해안권’ 지자체로 선정해 형평성 논란의 중심에 섰다. 보편적인 국민정서와 눈높이를 벗어난 해수부의 결정은 반드시 재고돼야 할 것이다

울산시는 해수부가 실시한 2023 해양레저관광 거점 공모 사업에서 ‘왕의 휴양지, 해양레저관광의 중심 일산’라는 주제의 사업을 제출했으나 최종 탈락했다. 이에따라 해수부의 7개 권역별 해양레저관광 거점 공모사업은 종전 수도권의 경기 시흥, 서해안권 전북 군산, 다도해권 전남 보성, 제주권 제주 서귀포, 동해안권 강원 고성 등 5곳 외에 이번에 동해안권의 경북 경주, 서해안권의 충남 보령이 추가 선정되면서 마무리됐다.

울산시는 신라시대 ‘왕의 휴양지’인 동구 일산과 대왕암공원 일원을 2026년까지 ‘해양레저관광의 중심’으로 개발하려는 계획을 제시했지만, 탈락했다. 시가 제시한 국비 249억원, 시비 124억5000만원, 구비 124억5000만원 등 총 498억원에 달하는 사업비가 타 지역보다 적고, 사업성이 낮다는 이유로 탈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수부가 전국 해안을 관광벨트로 조성하겠다고 하면서 정작 천혜의 경관을 자랑하는 부울경 해안벨트를 배제한 것은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결정이다. 지역 균형 발전 차원에서 형평성 차원에도 맞지 않는 처사다. 이 지역은 남해안의 한려수도, 부산 해운대, 울산 진하해변과 대왕암공원 등 한국을 대표하는 해양관광지가 포진한 곳이다. 그러나 해수부는 명칭만 다를 뿐 ‘서해안’권 지자체 3곳을 집중 선정했다. ‘권역별 선정’이라는 기준과 원칙마저 무너뜨리는 자충수를 둔 격이다.

해수부의 이번 결정으로 풍부한 산악·해양 관광자원을 활용해 ‘관광도시’로 거듭나려는 울산의 관광정책이 흔들려서는 안된다. 해양레저관광 거점사업은 해양레저시설 조성 등에 정부의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 침체된 울산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 관광산업에 물꼬를 틔울 수 있는 사업이다. 울산시는 해수부에 재심사를 요청하고, 정부의 해양관광 정책에 대한 지역민의 목소리를 적극 전달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업비를 높이고 사업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