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물가가 급상승하고 있다. 그러니 식비 지출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은 더 어렵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식료품·비주류음료의 물가가 5% 이상 치솟으며 2011년 이후 처음으로 3년 연속 5%를 넘기고 있다. 원유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기상 이변에 따른 작황 부진이 주원인이라고 한다. 정부와 정치권은 불가항력이라며 두고만 보고 있을건가. 말로만 민생 운운하지 말고 실질적으로 국민들 피부에 와닿는 일에 나서야 한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10월 생강이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97% 상승했다. 당근(33.8%)·양파(21.5%) 등의 채소류와 드레싱(29.5%), 잼(23.9%), 치즈(23.1%) 등의 가공식품도 20% 넘게 올랐다. 과실 중에서는 귤(18.3%), 사과(17.2%) 등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올해 1~10월 음식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동기보다 6.4% 올랐다. 대표적으로 피자(11.5%), 햄버거(9.6%), 김밥(8.9%), 라면(8.6%) 등이 많이 올랐다. 음식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7.7% 올라 1992년(10.3%)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다. 서민들이 가장 즐겨먹는 먹거리가 이렇게 비싸지면 피해를 보는 부류는 당연히 저소득층이다.

통계청에 의하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경우 식료품·비주류음료와 외식비를 합친 식비가 처분가능소득의 절반에 육박하는 44.4%로 나타났다. 상위 20%인 5분위와 비교하면 식비 지출액은 3분의 1에 불과하지만, 가처분소득 대비 식비 비중은 오히려 세 배 이상이다.

먹거리 가격 인상은 사회불안을 야기한다. 특히 없는 사람들에게 짜장면 한 그릇의 가격이 1000원 오르는 것은 생활에 급격한 위축을 가져온다. 김장철을 맞아 배추와 대파 가격은 지난해보다 50%나 폭등했다고 한다. 이 가운데 외식업체들은 육류·주류의 출고가 인상분보다 더 큰 폭으로 메뉴판 가격을 올리고 있다. 제조사들은 원재료 가격상승과 맞물려 출고가격을 대폭 올리고, 외식업체는 더 높은 가격의 메뉴판을 제시하면서 가난한 사람들은 식당 문턱을 넘기가 무섭다.

이식위천(以食爲天)이라고 했다. ‘임금은 백성을 근본으로 삼고, 백성은 먹을 것을 근본으로 여긴다.’는 말이다. 정부와 정치권은 오르는 먹거리 물가를 구경만 하지 말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최소한 물가 상승 심리를 틈타 가격을 지나치게 올리는 일각의 행태라도 철저히 단속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