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2030년까지 비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줄이겠다는 감축목표를 설정했다. 또 지역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87.8%를 점유하는 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부문별·연도별 감축이행 방안, 관련 신산업 육성 방안은 3월 말까지 마련할 예정이다.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과 녹색성장은 에너지 다소비형 기업이 밀집한 제조업 도시 울산이 반드시 구현해 내야 할 방향이다. 정부 정책에 따른 하향식 짜맞추기식 방안이 아니라 울산지역 특성에 맞고 실효성이 높으며 실현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대책을 주문한다.

울산시는 14일 ‘울산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안)’ 중간보고회에서 2050 탄소중립 비전을 ‘탄소중립으로 새로 만드는 위대한 울산’으로 설정했다. 또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연계해 2030년까지 지역 비산업부문 온실가스 발생량을 40%(2018년 대비) 감축한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건물, 수송, 농축산, 폐기물, 흡수원 등 5개 부문 50여 개 세부 이행과제를 담았다.

울산은 석유화학·자동차·조선·비철금속 등 에너지 다소비형 굴뚝기업이 밀집한 대표적인 탄소 다배출도시다. 탄소배출량(2021년 기준)은 전국 4위, 1인당 탄소배출량은 전국 3위다. 따라서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에 부응하는 도시전략을 제대로 짜지 못하면 ‘탄소장벽’에 부딪혀 도시의 성장이 가로막힐 수도 있다. 안그래도 주력산업의 성장력 감퇴로 ‘잃어버린 10년’이란 저성장의 늪에 빠진 울산에겐 또 다른 위기다.

암울한 분석도 잇따르고 있다. 한국은행은 보고서에서 2050 탄소중립 전략에 따라 제조업체가 몰려 있는 울산과 부산 경남 등 동남권의 지역내총생산(GRDP)이 가장 많이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EU를 비롯한 탄소국경세 제도가 전 세계로 확산될 경우 울산의 화학 등 주력산업의 생산과 수출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부경대 이동주 교수의 분석도 있다.

울산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꾀하려면 ‘저탄소 친환경 도시’로 체질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 그 근간은 지자체가 수립중인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이다. 탄소중립 사회로 가기 위해 산업, 공공, 민간 등 부문별 탄소중립 실현 목표를 잘 세워 선제적인 대응 전략을 시행해야 한다. 특히 이차전지, 수소, 신재생에너지, 지식기반서비스업 등 저탄소 산업으로의 포트폴리오 다각화는 필수다. 지역사회 구성원도 탄소를 줄이기 위한 생활 속 실천에 동참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