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현주 사회부 차장대우

울산은 전국 최고 수준의 수소산업 기반을 갖추고 있다. 수소 시범도시로서 연간 약 80만t에 달하는 수소를 생산하는 울산시는 중소벤처기업부 등과 협업해 지게차, 무인운반차, 이동식 수소충전소, 소형 선박, 선박용 수소충전소, 수소산업 기업지원 혁신클러스터 조성 등을 실증하고 있다. 수소는 열과 전기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 등 유해 물질 배출이 없는 친환경 에너지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울산에서는 세계 최초 수소전기트램 상용화를 목표로 ‘수소전기트램 실증사업’ 마지막 세부과제가 진행되고 있다. 울산시는 수소트램 운영을 통해 수소에너지 사업에 대한 주도권을 강화할 방침이다. 그런데 자칫하다 ‘세계 최초 상용화 타이틀’을 대전에 빼앗길 처지에 놓였다.

현재 울산시가 도시철도(트램) 1호선 실시설계를 위한 국비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는 사이, 대전에서 수소트램 도입을 발표한 것이다.

대전에서는 “대한민국의 첨단 과학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주도해 온 과학수도 대전에서 미래 철도 기술인 수소트램을 국내 최초로 도입하겠다”는 기사를 연일 쏟아내고 있다. 개통예정 시기도 울산보다 1년 빠른 2028년이다.

그동안 울산시가 공들인 노력이 허무하게 무너지는 순간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울산이 수소트램의 출발지로 남으려면 어떤 식으로든 실시설계 관련 국비 55억원을 확보해야 한다.

정부 예산안은 이미 확정된 만큼 남은 방법은 국회에서 증액하는 길 뿐이다. 따라서 울산시와 울산 출신 국회의원들은 필사적으로 이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현재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사업은 기본설계과정에서 사업비가 크게 늘어나면서 적정성 재검토에 들어갔다. 만약 적정성 재검토가 조기 통과된다면, 대전은 내년 착공에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대전은 울산만큼 수소생산·공급 인프라가 탄탄하지 못하다. 울산은 석유화학단지에서 부생 수소를 생산하고, 현대자동차를 잇는 수소배관망이 이미 구축돼 있다.

또 현재 대전에서는 지하화 공사 관련 적용 공법에 논란이 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38㎞ 구간 가운데 최소 5개 구간을 지하화해야 하는 상황으로 울산보다 공사 과정상 변동이 많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알려진 바로는 정부 또한 울산 수소트램 관련 예산의 시급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지방 국비사업이라는 것이 대부분 그렇듯이 지역 출신 국회의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매달리지 않으면 날아가버리기 일쑤다. 그렇게 되면 또 1년의 허송세월을 보내야만 한다.

석현주 사회부 차장대우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