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공급망 리스크’가 또다시 재발할 조짐이다. 중국이 최근 한국에 수출하는 산업용 요소 통관을 보류하면서 ‘요소 수급’에 적신호가 켜졌다. 중국의 수출 규제가 길어지면 2년전 처럼 산업과 물류가 멈춰서는 ‘대란’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벌써부터 요소(수) 공급업체에는 화물차 기사 등의 구입 문의 전화가 빗발치고 있다고 한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이 격렬해질수록 중국발 공급망 리스크가 커진다. 대 중국 의존도가 높은 품목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시급하다.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달 30일 한국으로 수출하는 산업용 요소의 수출을 내년 1분기까지 제한하기로 했다. 요소는 농업용 비료는 물론 경유차 배출가스와 석탄발전소 탄소 저감장치 등에 사용하는데, 국내 산업용 요소 수요는 월 6000t 정도다. 업계 비축 물량은 3개~4월 치로 추산되고 있다. 당장 요소 수급불안이 발생하지 않겠지만, 중국의 규제 장기화에 대비한 복안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시장에선 요소 수급의 불확실성이 선(先) 반영되고 있다. 2년 전 ‘예방 주사’를 맞은 학습효과 탓에 요소수 확보를 늘리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고 한다. 가수요가 가수요를 불러 ‘사재기’로 번질 판이다. 불안이 일자 정부도 진화에 나섰다. 정부는 이날 재고가 충분하다면서 요소수 사재기를 자제해줄 것을 호소했다.

문제는 ‘중국발 공급망 리스크’에 상시 노출돼 있다는 점이다. 언젠가 ‘자원 무기’로 돌변할 게 뻔한데도 대중국 공급망 의존도는 되레 더 커졌다. 산업용 요소만 해도 중국 의존도는 2021년 71%에서 ‘요소수 사태’를 겪으며 2022년 67%로 한때 낮아졌다가 지난해 다시 90%로 더 높아졌다. 요소수 대란으로 얻은 교훈은 아예 사라진 꼴이다.

산업부 자료에 따르면 10월 기준 중국 의존도가 90% 이상인 ‘절대의존품목’은 전체 품목(1000만 달러 이상)의 56%인 216개 품목에 달했다. 소재와 부품 등 산업의 중간재 대부분이 중국발 리스크에 고스란히 노출된 셈이다.

향후 정치적 이유로 중국이 반도체, 전기차,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핵심 소재에 쓰이는 핵심 광물에 대한 수출 통제에 들어간다면 괴멸적인 타격이 우려된다.

정부와 기업은 명운을 걸고 핵심 광물과 부품·소재의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대체 공급선을 찾아야 한다. 천수답처럼 마냥 중국 눈치만 보고 있을 겨를이 없다. 더 늦기 전에 자원 외교 강화와 공급망 다변화에 속도를 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