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프롤로그
태화강 이어 회야강까지
국가하천으로 지정되며
수생태계 환경개선 방증
지방하천 여건은 제자리
곳곳 악취·불법투기 몸살

태화강국가정원 전경
태화강국가정원 전경

극심한 가뭄과 호우, 한겨울의 초여름 날씨 등 기후변화가 심각하다. 폭우·폭염·가뭄·한파가 시시때때로 몰아친다.

기상관측 이후 ‘최고 강수량’이 경신되는 등 기후변화의 폭과 범위가 그야말로 예측불허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홍수에 취약한 지방하천과 직접적 연관성이 높다. 물부족 사태에 직면해 있는 울산은 지방하천의 중요성이 더 크다.

국내외 주요 도시들에서는 하천의 개념을 단순히 ‘물을 다스린다’는 치수(治水)의 기능을 넘어 ‘물을 이용하는’ 이수(利水), ‘즐기는’ 친수(親水)로 다변화하는 분위기다. 다시 말해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 예방은 물론 시민들의 삶의 질적 향상까지 고려한 방향으로 하천의 치수 패러다임 자체가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울산에는 국가하천 2개와 100개의 지방하천이 흐른다.

구군별로 살펴보면 울주군이 69개로 가장 많다. 북구 20개, 남구와 동구 각 4개, 중구 3개다.

울산시의 젖줄로 불리는 가장 큰 하천인 태화강에 이어 최근 회야강이 국가하천으로 승격돼 올해부터 국가가 직접 관리에 나선다. 그만큼 울산지역의 하천 수질과 수생태계 환경이 개선됐다는 청신호로 인식된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 보면 멍든 곳이 한두 곳이 아니다. 지역 내 상당수 지방하천은 여전히 악취나 폐수 및 오염도 증가 등으로 시름하고 있다. 일부 하천은 세차장으로 전락했다. 행정기관 차량까지 하천에서 세차를 일삼고 있는 현실이 부끄러운 자화상이다.

지방하천의 환경은 생태도시의 또 다른 ‘바로미터’이기도 하다. 이대로는 명실상부한 생태도시로의 도약은 공염불에 불과하다.

지방자치단체가 관할하는 지천은 중앙정부가 관리하는 국가하천에 비해 홍수·가뭄 대비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높다.

녹록지 않은 재정 여건에서도 울산시와 구·군이 중장기 하천 정비사업 등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

무엇보다 생태환경도시로의 지름길이 지방하천 관리에서 시작된다는 행정기관의 인식변화도 필요하다.

지자체 조례 등을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하천 환경개선 방안도 더욱 강화해야 한다.

기업과 지방자치단체, 일선 학교 등 지역 구성원들이 ‘하천 가꾸기’ 등 생태계 보존활동에 주체가 되어야 한다.

전문가들은 민관합동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도 강조한다.

이상범 울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관 중심의 하천 관리를, 민관이 각각의 인력이 협업해 전문성을 살리는 민관합동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환· 구축해야 한다”며 “울산 내 주요 하천만이라도 정기·상시 모니터링해 하천 곳곳에서 벌어지는 불법행위들을 감시·감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역의 한 구청 관계자는 “도시확장을 위해서는 상하수도 처리가 원활해야 한다. 현재 하천관리의 문제는 구조적 시스템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지방하천을 관리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와 함께 전문인력 양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종호 울산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결국은 시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감시해 행정기관이 움직이도록 해야 한다”며 “관리면적 등 현실적인 문제 등을 고려해 다양한 방안들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본보는 악취, 불법투기 등으로 멍든 울산지역 지방하천의 실태를 세부적으로 파악해 생태환경 도시로 도약하는 방안을 모색해 본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