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도시 울산에 서버, 네트워크 장비, 스토리지 장비 등 IT 인프라를 집적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댐’ 역할을 하는 민간기업의 데이터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오는 6월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를 적용하는 ‘분산 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울산에 들어서는 첫 데이터센터라고 할 수 있다.

‘첨단 산업의 입지 조건’으로 주목받고 있는 데이터 센터는 디지털 경제 전환에 꼭 필요한 핵심 기반 시설이다. 울산시는 전통 제조업 도시 울산이 ‘디지털 경제’로 나아갈 수 있도록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등 분산형 에너지 자립 체계 확립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울산시는 지난해 SK가스가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냉열을 활용한 데이터센터 유치 건의와 관련해 적극적인 행정적 지원을 약속했다. 이 회사의 LNG 열병합발전소인 SK멀티유틸리티(MU)는 울산미포산단 내 SK케미칼 유휴부지에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울산이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라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데이터센터 유치에 최적지라고 판단한 것이다. SK가스는 중장기적으로 울산의 청정수소, 해상풍력, LNG 냉열 등의 인프라를 활용해 ‘Net­zero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조성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김두겸 시장은 이와 관련 “현재 데이터센터가 수도권에 집중된 만큼 앞으론 부울경지역 등 지방으로 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앞으로 지방정부 간 경쟁보다는 협업을 통해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며 울산시 주도의 데이터센터 유치에는 선을 그었다. 다만 “앞서 현대차·삼성SDI 등 기업현장지원 사례처럼 TF를 구성해 데이터센터 클러스터가 성공적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에 나서겠다”라고 밝혔다.

데이터센터는 입지의 60%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고, 과다한 전력 사용이 최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2022년 10월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사고를 계기로 데이터센터의 비수도권 분산을 적극 추진 중이다.

울산시는 지난해 ‘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 제정을 계기로 데이터센터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시는 분산 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해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을 추진 중이다. 분산 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이 최우선 과제다. 그래야 분산형 전력 자립 체계 구축과 IT, 통신, 이차전지, 반도체 등 디지털 경제로 전환하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울산은 ‘스마트 도시’ ‘디지털 경제’로 나아가는 기회를 잘 살려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