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인구를 실질적으로 늘리기 위해서는 ‘생활인구’라는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생활인구는 지난해부터 도입된 제도로, 기존 주민등록 인구뿐만 아니라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체류하는 사람과 외국인으로 구성된다. 이는 교통·통신의 발달로 사람들의 이동성과 활동성이 크게 높아진 점을 감안한 것이다.

울산의 생활인구는 아직 정확하게 산정해보지는 않았지만 현재의 주민등록 인구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울산은 산업도시의 특성상 주민등록을 이전하지 않은 채로 살고 있는 근로자들이 많고, 이 중에는 부산, 경주, 양산 등에서 출퇴근하는 사람들도 상당수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울산시가 발표한 ‘미래 인구맵 설계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울산의 생활인구 유입과 유출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주로, 주중 1만4000여명, 주말 1만6000여명에 이른다. 2위인 양산 8000여명, 3위 부산 기장 5000여명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실제 지난 2일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이 공식적으로 처음 전국 7개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생활인구 산정을 해 본 결과 고창군의 경우 생활인구가 18만8800명으로 등록인구 5만3151명(2022년 3월 기준)의 3배를 넘었다.

생활인구 제도는 정부가 인구감소지역에 대해 행정·재정 지원을 확대하고, 인구 감소 폭을 줄이는 지자체의 노력을 정부 차원에서 지원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정책이다. 또 울산지역 내에서의 소비 촉진이나 지역경제 기여도 측면에서도 큰 역할을 한다.

생활인구 제도를 잘 활용하면 지역 활력을 제고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주민등록 인구와 생활인구간의 격차는 도시기반시설 건설에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7월 김종훈 울산 동구청장은 “앞으로 정주인구와 체류인구, 관계인구를 아우르는 ‘생활인구’를 20만명까지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청장은 “조선업 호황기에 19만명이었던 지역 인구가 15만명으로 줄었다”며 “이제 생활인구도 우리 주민이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울산의 인구는 110만3000명을 약간 웃돌고 있다. 울산시가 최근 공장 유치 등을 통해 인구증가 정책을 끊임없이 추진해오고 있지만 전국적인 추세를 돌이키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울산시는 생활인구 개념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