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와 울산시교육청이 교육부 주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 공모’에 공동으로 응모한다. 신청할 사업 명칭은 ‘지역인재와 기업이 함께하는 울산형 교육발전특구’로, ‘지역인재’와 ‘기업’에 방점을 찍었다.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지역 공공기관이 협력해 지역 공교육 혁신과 인재 양성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울산은 예로부터 교육열은 매우 높으나 교육기반은 비교적 좋지 않은 도시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광역시 승격 이후 울산지역 고3 수험생들의 70% 이상이 타 시·도로 떠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열악한 교육기반은 인구 유출로도 이어져 9년째 인구들이 빠져나가고 있다. 울산시의 ‘2023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대는 ‘원하는 학교 및 학원 등 교육기반이 부족해서’ 울산을 떠난다고 답했다. 20대는 ‘구직, 취업, 직장 또는 사업장의 이전’ 등을 탈울산 이유로 들었다.

이번 ‘울산형 교육발전특구’는 지역 전략산업 맞춤형 인재 양성과 지역 정주 지원을 뼈대로 하고 있다. 만일 울산이 이달 말 시범지역으로 지정되면 연간 30억~100억원의 지방교육재정특별교부금을 받게 된다. 울산의 교육 기반을 튼실하게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아닐 수 없다.

울산형 교육발전특구 계획에는 유아·돌봄, 초·중·고, 대학·기업 등 3대 분야 12대 추진 과제가 담겨 있다. 이 중에서 대학·기업 분야는 지역 의대 증원 및 지역 인재 전형 확대, 고교·대학 공동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지역 인재 양성, 지역 인재와 기업 지원을 통한 정주 인력 증대, K팝 사관학교 설치 운영 및 저변 확대 등의 내용이 들어 있다. 이는 고교와 대학, 기업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취업과 정주여건 향상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진다는 뜻이다. 여기다 6일 정부는 의대 정원을 2000명이나 확대하기로 해 이번 교육발전특구 지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울산시와 시교육청은 지난달 울산시장, 시교육감, 대학 총장, 공공기관, 기업체 등 24개 기관이 참여하는 지역협력체 구성 협약도 체결했다.

산업수도 울산은 그동안 교육 불모지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알고보면 울산은 취업과 산업, 정주여건이 가장 효율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조건을 다 갖추고 있다. 울산시와 시교육청은 이 점을 교육부에 적극적으로 호소할 필요가 있다. 시와 시교육청은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계획서를 다시 한번 재검토하고 또 보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