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의료계 집단 휴진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 진료체제에 돌입했다.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에 총파업으로 대응하겠다는 의료단체의 집단행동 움직임에 대비하기 위한 조처다. 울산시민 대다수는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 반대를 이유로 한 의료단체의 집단행동에 결연히 반대하고 있다. 그런데도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볼모로 집단행동에 나선다면 국민의 매서운 비판과 저항에 직면할 것이다. 정부와 울산시는 의료공백 발생과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료계 설득과 함께 비상 진료 대책을 완벽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울산시는 7일 의료계 집단 휴진에 대응하기 위해 시민건강국장을 본부장으로 상황총괄반, 진료대책반, 행정지원반, 홍보대책반 등 4개 반의 비상진료대책본부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또 구·군별 보건소에 설치되는 비상진료대책상황실은 지역 의료기관 휴진현황 파악, 비상진료기관 점검, 집단휴진 자제 요청, 업무개시명령 등 현장중심의 비상진료 대책을 수행한다.

시는 설 연휴기간 중 진료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의사회, 병원협회, 약사회 등 관련 단체의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설 연휴기간 문을 여는 병원, 의원, 약국에 대해 일일상황을 점검하기로 했다. 아울러 시민들이 의료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집단휴진 자제 요청과 함께 보건소와 보건지소 등 공공보건의료기관 24개소와 응급의료기관 7개소에 비상진료체계 가동한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내년에 2000명 등 2035년까지 1만 명의 의사인력을 늘리는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1998년 제주대 의대 신설 후 27년 만의 입학 정원 확대 결정이라고 한다. 특히 지방의 경우 ‘비수도권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의대 입학정원을 집중 배정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에 기대감이 높다. 울산도 지역·필수의료 붕괴로 인해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 등으로 많은 환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의료 붕괴는 의사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것은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이다. ‘일방적 결정’이니 ‘소통 부재’를 주장하는 의료단체의 주장은 명분도 설득력도 떨어진다. 국민의 건강과 생명은 ‘힘겨루기나’ ‘밥그릇 지키기’의 대상이 절대 아니다. 또한 국민이 ‘의료개혁의 볼모’가 되어서는 더더욱 안된다. 의료단체는 낙후되고 불합리한 의료체계 개혁의 주역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 순간까지 접점을 찾아야 한다. 그것이 국민이 기대하는 눈높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