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서를 쓰고 우표를 붙였다
짧고 가는 문장이 두 줄로 포개져 있었다
읽을 수 있을까, 이 비틀거리는
새의 말을 쓸쓸한 발톱이 휘갈겨 쓴
마음의 잔해들을
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다가
버스에서 내린 사람들을 따라갔다
가다 멈추고 공원 근처
가까운 편의점에서 생수와 빵을 샀다
벚나무 아래 나무의자에는 녹지 않은 눈이 가득했다
녹을 수 없는 눈과
녹지 않는 눈의 차이는 무엇일까
나는 엽서를 꺼내 그 두 줄의 문장에서
희고 간결한 새를 꺼내 날려 보냈다

꾹꾹 눌러쓴 육필, 떠나보내지 못한 간절함이…

▲ 송은숙 시인
▲ 송은숙 시인

편지를 써서 우체통에 넣은 적이 언제였던가. 메일과 카톡이 일상화되고 비대면 소통 방식이 자리 잡아가면서 손으로 편지를 쓰고 우표를 붙이는 일은 아득한 추억이 되고 말았다. 그러므로 손으로 직접 쓴다는 것은 그만큼 절실한 마음의 표현이다. ‘쓸쓸한 발톱이 휘갈겨 쓴/ 마음의 잔해들’은 손으로 꾹꾹 눌러쓴 육필에만 담길 수 있다.

시인은 그 마음을 ‘두 줄의 문장’으로 표현한다. 간절한 마음은 긴말이 필요치 않다. 그 마음은 오히려 시인의 행동을 추동하여 정처 없이 배회하게 하는데, 시인이 들른 공원의 나무의자에는 ‘녹지 않은 눈’이 가득 쌓여 있다.

시인이 사유하는 ‘녹을 수 없는 눈’과 ‘녹지 않는 눈’의 차이는 무엇일까. ‘녹을 수 없는’에는 ‘차마’라는 부사어가 생략된 듯 보인다. ‘애틋하고 안타깝다’ 혹은 ‘아무리 해도’란 뜻의 이 부사어는 ‘녹을 수 없는 눈’이 끝내 떠나보내지 못하는 시인의 마음임을 드러낸다.

시인은 엽서를 ‘차마’ 부치지 못했다. 대신 마술사가 가슴에서 장미를 꺼내듯, 그 두 줄의 문장에서 새를 꺼내 날려 보낸다. 편지를 전하는 전서구가 생각나는 구절이다.

제목이 ‘우체국’인 것도 그런 연유일 것이다. 송은숙 시인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