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대기업들이 ‘성과급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해 호실적을 올린 데 대한 주주들의 배당금 등 주주 친화정책 확대 목소리만큼 직원들의 성과급 확대 요구도 거세지고 있어서다. 영리를 추구하는 회사 수익에 대해 이익배분을 요구하는 것은 주주와 직원의 권리다. 다만, 이 과정에서 ‘불신의 벽’을 키운다면 회사와 주주와 직원, 나아가 지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기업의 주주 배당과 직원 성과급 갈등은 회사 담장을 넘는 순간 ‘사회적 갈등’으로 비화할 소지가 높다. 바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의 문제다. ‘경제의 허리’ 격인 중소기업 대다수는 성과급은커녕 연봉 동결 등으로 올해도 우울한 한 해를 시작했다. 대기업의 ‘성과급 잔치’에 중소기업이 받는 심리적 박탈감과 자괴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다. 대기업은 투명한 성과급 산정 등 소통을 통해 노사 공존 방안을 찾고, 나아가 열악한 중소 협력기업 지원 등 사회적 책임에도 제 역할도 다해야 할 것이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최근 경영권 재량에 의존하던 특별성과금 지급 방식을 변경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경영실적 발표 후 올해 특별성과금 지급 여부에 대한 직원들의 관심이 높아지자 임금 협상에서 특별성과금 지급을 논의해 특별성과금의 취지를 살리겠다는 것이다. 이동석 현대차 국내 생산 담당 대표이사 사장은 “‘회사는 성과 있는 곳에 보상있다’는 원칙을 변함없이 지켜나겠다”라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15조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올들어 대기업들의 ‘성과급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지난해 최악의 실적을 낸 삼성전자의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는 최근 회사에 격려금 200% 지급 등을 요청한 상태다. LG에너지솔루션 일부 직원과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 직원들은 ‘성과급’에 불만을 표출하며 트럭 시위를 벌였다. BGF리테일은 소유주 일가의 배당금을 늘리고 직원의 성과급을 줄여 갈등을 빚고 있다. 한국전력은 성과급 반납 추진에 직원들의 반발에 직면해 있다.

기업의 ‘성과급’ 문제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노사 간 새로운 갈등 양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경제적 이익’을 우선시하는 직장인의 기업문화를 보여주는 단면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대기업의 성과급이 ‘그들만의 성과급 잔치’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갈수록 위태위태한 중소기업과 공존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하다. 그래야 지속 가능한 기업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