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銀 가격조정행태 변화 보고서
팬데믹 이후 가격조정 빈도 ↑
수입원재료 비중 클수록 잦아

국내 기업들이 팬데믹 이후 비용 압박으로 인해 이전보다 생필품 가격을 더 자주 올리면서 물가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11일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소비자원의 생필품 가격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기업의 가격조정 빈도를 조사한 결과 2018~2021년 월평균 11.0%에서 2022~2023년 15.6%로 상승했다. 가격조정 빈도는 해당 기간 가격조정 기회 가운데 실제 기업이 인상 또는 인하를 단행한 횟수의 비율이다.

이 빈도를 기간으로 환산하면 평균 상품가격 유지 기간이 팬데믹 이전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됐다. 코로나 이전 연 1.3회 가격을 올렸다면, 이후에는 한해 약 두번 올렸다는 의미다. 한번 올릴 때 인상률은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로 팬데믹 전과 큰 차이가 없었다.

품목별로는 조미료·식용유지, 축산·수산물 가공품 등 수입 원재료 비중이 큰 경우 팬데믹 이후 인상 빈도가 높아졌다.

또 물가 상승 수준과 기업의 가격 인상 빈도를 분석하면 물가 상승률이 4~5%로 높은 시기에는 유가·곡물가 상승 등에 따른 생필품 가격 인상 빈도가 늘어나면서 실질 물가 인상으로 빠르게 전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재 한국은행 물가동향팀 과장은 “지금처럼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수준(2%)을 상회하는 상황에서 향후 새 충격이 발생하면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보다 더 커질 수 있다”며 “물가 상황을 판단할 때 기업의 가격 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도 지속해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