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복지시설 · 노인복지회관등 복지 인프라 확충
노인종합상담센터 설치 '원스톱서비스'구축 절실
양질의 일자리 제공 '삶의 활력'·재정 문제 해결
일자리전담기구 신설 체계적 관리 필요성 지적

울산에서 노인인구가 가장 적은 곳은 북구다.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놓고 보면 동구가 가장 낮지만 인구 수에서는 오히려 북구가 적다.

북구의 지난해 상반기 기준 노인인구는 7035명이다. 중구, 남구, 울주군지역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치다.

동구와 함께 젊은 도시 울산을 이끄는 핵심지역이며 생산의 도시다.

주거, 의료 등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시설은 2곳이 운영돼 다른 지역에 비해 다소 사정이 나은 편이다.

그러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계층과 움직이기 힘든 와상 노인들을 위한 가정봉사원파견센터, 주·단기보호시설 등의 재가복지 시설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또 홀로사는 노인 인구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많아 재가복지시설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노인인구와 복지 인프라

울산시가 지난해 상반기 기준 울산지역 전체 노인인구를 조사한 결과 북구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인구는 7035명으로 전체 인구의 4.7%에 불과했다.

인구비율로 보면 동구(3.8%)에 이어 두번째지만 노인 인구 수로 보면 동구(7238명)보다 200여명 가량 적다. 동구와 함께 젊은 도시 울산, 산업수도 울산, 역동의 도시 울산을 이끌고 있는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계열사에 근무하는 근로자가 많은 양정동과 염포동에는 각 동별로 인구가 1만여명이 넘지만 노인 인구는 500명 안팎에 머물 정도로 적다.

이에 반해 전통적으로 토착민들이 많이 생활하고 있는 농소(1~3동)·효문지역은 노인인구가 모두 1000명을 훌쩍 넘는다.

북구지역의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둘러야 할 부문으로는 다른 지역에 비해 홀로사는 노인 인구비율이 높은 인구구성 특성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울산시가 지난해 상반기 60세 이상 가구중 노인들로만 이루어진 가구를 조사한 결과 울산 전체로는 28%가 홀로사는 노인가구로 집계돼 문제가 시급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 75세 이상 고령자중에서 홀로사는 노인 가구는 1355가구로 조사됐다.

북구지역에서 60세 이상 홀로사는 노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0%선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노인인구의 복지수요를 감당하는 북구지역의 노인 복지시설이 복지서비스 수요를 못따라가기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다.

우선 주거복지시설이 단 한 곳도 없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남구지역에는 단 한 곳도 없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이 전문요양시설과 실비노인요양시설 각 1곳씩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자주 접하고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경로당과 노인복지회관 등 여가복지시설은 100여곳이 운영되고 있다.

이와 함께 가정봉사원파견센터, 주·단기보호시설 6곳이 운영되고 있다.

가정봉사원파견센터와 주·단기보호시설은 홀로사는 노인인구가 많은 북구지역의 서비스 수요 특성상 현재의 시설로는 노인들의 복지 욕구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고 있어 시설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노인복지 정책

북구지역의 노인복지 정책은 복지수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뤄지고 있다.

북구청이 지난해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대응방안 우선 순위를 조사한 결과 재가서비스 확대 실시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손꼽혔다.

이어 노인을 위한 여가·문화·교양 프로그램 및 평생교육 확대 욕구가 뒤를 이었으며 노인취업 알선 사업 실시, 노인복지시설 확충, 노인여가시설 확충 및 활성화 대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북구청은 노인들이 경로당을 다양한 여가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공간, 즉 노인센터로 이용할 수 있도록 경로당을 활성화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나서고 있다.

또 농·어촌 등 소외지역 노인을 위한 복지 기반시설을 지원해 도심지역과 형평성을 이루는 노인정책을 꾸준히 추진하는 등 노인복지 서비스의 균형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함께 노인층중에서 아직 근로능력이 있는 노인에게는 알맞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취업알선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대규모 시설에 들어가기 싫어하는 노인들의 시설 기피증을 해결하기 위해 가정과 같은 분위기에서 생활이 가능한 소규모 그룹홈 등을 더 많이 확충하는 정책도 추진되고 있다.

경로연금, 노인 교통수당, 장수 수당 지원을 비롯해 경로식당 운영, 도시락 배달사업, 홀로사는 노인 우유 배달, 경로당 운영비·난방비 확보, 경로당 보수 등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기존 노인복지 정책도 꾸준히 실시되고 있다.

◇노인정책 평가와 대책

노인들이 건강한 노후생활을 하도록 건강검진, 치매노인 재가사업, 방문간호 사업 등의 대폭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기초생활수급자중 희망자에 한해 실시되는 건강진단은 노인질병의 예방차원에서 전 노인으로 대상이 확대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치매 노인을 보호하는 가족에 대한 지원 대책이 없는 현실을 감안해 자조모임을 결성하고 이를 지자체 차원에서 지원하는 등 치매가족을 교육하고 지원하는 기반이 시급하게 조성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재가노인들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주·단기보호 서비스나 가정봉사원파견 서비스 등도 정서 서비스나 가사 서비스에 치중돼 의료적인 혜택은 상대적으로 소홀해지고 있어 이를 보완하는 차원의 방문간호 서비스를 체계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생활시설·재가복지시설·노인복지회관 등 노인복지 시설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 노인종합상담센터를 만들어 노인들에게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원체계도 시급히 이뤄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노인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 삶의 활력을 불어 넣는 것은 물론 보충적 소득을 마련해 재정적인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정책도 더욱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현재 노인복지회관 및 노인회 부설 취업알선센터, 노인인력지원기관, 기초자치단체 등에서 실시중인 노인일자리 사업은 중심기구가 없어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노인일자리 관리 전담기구를 신설해 체계적인 관리와 전산화 체계를 구축해 노인 일자리 업무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박정남기자 jnp@ksilbo.co.kr(경상일보-사회복지포럼 공동기획)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