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1년-(하)노후원전 철저한 관리…불안 해소해야

국민오해 살 원전정보 공개
원전 안전에 1조1천억 투입
모든 안전시스템 완벽 구축

원자력은 발전량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전력공급의 32%를 차지한다. 국내에는 현재 21기의 원전이 가동중이며 고리, 월성, 울진에 7기의 원전이 새로 건설중이다. 또 6기의 원전이 추가로 건설계획이 잡혀있다. 원전이 발전원별 판매단가 등 비용측면과 생산발전량 등 공급측면을 따져볼때 경제적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 고리원전이 지난 2월 장안읍 이장단을 대상으로 원전 안전운영 개선대책 설명회를 열고 있다. 경상일보 자료사진

그러나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처럼 방사능 누출 등 대형사고가 발생하면 엄청난 재앙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원전을 둘러싼 찬성과 반대가 팽팽하게 맞서 있다.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예기치 못한 자연재해에도 대비할 수 있는 안전대책을 위해 향후 5년간 1조1000억원 투입하는 등 안전조치를 크게 강화했다.

울산 인근에 위치한 고리원자력본부도 비상시 상황에 따라 ‘백색비상(방사선 영향이 원전시설 건물내에 국한)’ ‘청색비상(방사선 영향이 원전시설 부지내에 국한)’ ‘적색비상(방사선 영향이 원전시설 외부로 미치는 상태)’ 등 3단계로 세분화 해 안전관리를 보다 체계화했다.

강경성 지식경제부 원전산업정책과장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정부는 전문가로 특별안전점검을 실시, 가동중인 원전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인했다”며 “고리원전의 경우 지대가 낮기 때문에 쓰나미 발생 등 최악의 상황을 고려해 방벽 설치작업에 착수하고 침수시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방수문을 설치하는 한편 비상전원발전기를 배치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원전을 둘러싼 국민들의 불안감은 쉽게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대표적인 불안감이 노후원전에 대한 관리문제다.

국내 원전 총 21기 가운데 1980년대 상업운전을 시작한 원전은 9기로 절반에 이르고 있다. 이들 노후원전은 지난 연말과 연초 잇따른 고장으로 발전이 정지되기도 했다.

이근대 에너지경제연구원 전력정책연구실장은 “원전은 보통 가동 초기와 가동 말기에 고장이 많이 발생하는데 오래될수록 고장이나 사고가 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설비의 안정적 관리, 부품이나 설비의 철저한 교체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일본 대지진에 따른 원전사고 이후 확산되고 있는 방사능 누출사고에 대한 국민적 불안을 차단하기 위해 노후원전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함께 오해에서 비롯한 불안감이 초래되지 않도록 각종 원전정보에 대해 사회적 소통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전문가들은 또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기존의 안전시스템을 무력화시킨 일본의 사례를 참고해 모든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조선대 원자력공학과 김숭평 교수는 “일본이 안전에 관해서는 세계 1위라고 자부했지만 실제로 사고가 발생하니 안전시스템이 무력해졌다”며 “위기 상황을 예상한 여러 시나리오를 작성해 실제로 운영해보고 효과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허광무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