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 따른 고용쇼크와 출산율 급감에
인구감소 시기 정부예측보다 15년 빨라
성장동력 창출 노력, 도시 쇠락 막아야

▲ 김창식 경제부장

1인당 지역총생산(GRDP) ‘19년연속 전국 1위’(2016년 기준)를 자랑하는 울산의 인구 감소세가 예사롭지 않다. 저출산 영향에다 자동차·조선 등 주력산업이 저성장기를 맞으면서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도시 경쟁력의 원천인 구성원들이 꼬리를 몰고 외지로 빠져나가고 있다, 지난 반세기 세계속의 산업도시로 입지를 다진 울산의 위상도 흔들리고 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17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에는 울산의 총인구가 이미 2015년 정점을 찍고 본격적인 하락세로 접어들었다는 결과가 포함됐다. 인구주택총조사는 국가의 공식 인구확정통계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조사시점 현재 평소에 살고 있는 ‘상주(常住)’ 인구를 기준으로 하는 인구주택총조사는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와도 다른 개념이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울산의 총인구(내국인+외국인)는 115만7077명으로 확정됐다. 울산의 총인구는 2015년(116만7000명) 정점을 찍은 뒤 2016년과 2017년 2년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출생인구가 줄어든데다 조선 산업 부진여파로 국내 인구의 순유출과 외국인 근로자들까지 동반 감소하며 인구가 줄었다. 수치상 간극은 있지만, 행안부의 주민등록상 울산의 총인구도 2015년 11월말 120만64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올해로 3년째 감소하고 있다. 7월말 현재 울산의 주민등록상 인구는 117만8545명선으로 2014년 수준까지 낮아졌다.

여기에선 국가기관 사이에 인구통계의 수치상 차이와 정확성 여부를 논하기보다는, 울산의 인구감소가 정부의 예상치보다 훨씬 빨리 시작됐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다. 울산이 직면한 ‘인구절벽의 위기’는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팩트이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지난해 ‘시도별 장래인구추계’(2015~2065년)에서 울산의 인구는 2029년(119만명) 정점을 찍은 뒤 2030년부터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실제 울산의 인구감소 시기는 정부 예측치보다 무려 15년이나 빨리 찾아왔다.

울산의 인구가 계속 감소하는 이유는 바로 자동차·조선 등 주력산업의 저성장으로 인한 고용쇼크 때문이다. 고용불안의 진원지인 제조업 취업부진이 이어지며 울산의 인구 순유출은 2015년 12월부터 시작해 올해 7월말까지 32개월째 현재 진행형이다. 출산율 급감도 울산을 인구절벽에 빠트리는 요인이다. 평균연령 39.5세의 젊은도시 울산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출생아 수 감소율’ 1위의 오명을 이어가고 있다, 2015년 1만1000명을 넘던 울산의 출생아 수는 올해 연말께 8000명 선으로 추락할 것이 확실시된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상 20년 뒤(2036년) 직면해야할 출생아수를 올해 연말 맞이하게 되는 울산이다. 이렇게 되면 울산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출생인구 대비 유출인구가 더 많은 도시로 전락한다.

산업의 저성장과 인구유출, 저출산은 도시를 쇠퇴의 위기로 몰아넣는다. 울산은 광역시 승격 21년이 맞았지만 3대 주력산업을 뒤이을 신성장 동력을 키우지 못했다. 원전·전지·수소·그린카·오일허브·바이오·3D프린팅·게놈 등 숱한 ‘메카’전략은 소리만 요란할 뿐 지역민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먹거리 산업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울산시를 비롯한 민선7기 지방정부는 새로운 일자리 및 성장동력 창출에 사력을 다해야 한다, 성장한계에 부딪힌 전통 제조업에는 4차산업의 ICT(정보통신기술)라는 융복합과 혁신의 옷을 입혀 도시와 산업의 체질개선에 나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인구와 고용의 감소로 도시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저하돼 쇠락의 운명을 피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김창식 경제부장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