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소득대비 원리금 상환비율
12.2%로 전분기보다 0.1%p ↑
BIS 집계 17개국중 상승폭 최고

소득과 견줘 갚아야 할 원리금이 빠르게 불어나며 가계의 빚 부담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이에 따라 한국은 가계소득에서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이 선진 17개국 가운데 가장 빨리 증가하는 것으로 나라가 됐다.

3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1분기 한국 가계 부문 DSR(Debt service ratios·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12.2%로 전 분기보다 0.1%p 상승했다.

DSR가 높을수록 소득과 비교해 미래 빚 상환 부담이 크다는 뜻이다.

올해 1분기 DSR는 2011년 2~4분기 기록한 사상 최고치(12.2%)와 같은 수준이다.

최근 2년간 DSR 상승 폭을 보면 BIS 통계가 있는 17개국 중 한국이 1%p로 가장 컸다. 2위인 노르웨이(0.7%포인트)를 포함해 절반이 채 되지 않는 8개국만 DSR가 상승했다.

한국 가계의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는 것은 가계부채의 규모가 커지고 금리가 오르며 원리금은 커지지만 소득은 그만큼 증가하지 못해서다.

가계부채 증가 속도는 경제 성장세와 견줘서도 가파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3월 말 기준 95.2%로 1년 전보다 2.3%p 상승했다.

최근 1년 상승 폭에선 43개국 가운데 3위였다.

가계 소득, 경제 성장세에 비해 과도한 가계부채는 소비를 짓눌러 내수와 경제를 위축시킨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는다.

 

더 큰 문제는 금융 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상치 못한 문제가 터져 대출을 상환하기 어려워진 가계들이 늘면 금융기관들이 줄줄이 부실해져 금융 시스템 리스크와 실물 경제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의 핵심 원인 중 하나가 과도한 가계부채였다.

김동원 고려대 초빙교수는 “소득, 부채 증가율 간 격차가 줄어들고 있지만 아직도 부채 증가율이 소득보다 2배 이상”이라며 “금융당국은 가계부채가 건전한 수준이라고 하지만 위기는 터질 때까지 모른다”고 꼬집었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일부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