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논설위원

입춘이 정확히 일주일 남았다.‘입춘에 장독 깨진다’는 속담은 거꾸로 말하면 앞으로 일주일 동안은 계속 추울 것이란 이야기다. 그럼에도 입춘은 새싹처럼, 나뭇가지에 돋아나는 눈처럼 봄을 일으켜(立春) 세운다. 입춘(立春)을 ‘入春(입춘)’이라 말하지 않는 것은 ‘저절로 돌아가는 계절의 수레바퀴’처럼 끌려다니기 싫기 때문이다. 제 힘으로 언 땅을 딛고 봄을 일으켜 세우는 역동이 ‘立春(입춘)’이라는 단어에 함축돼 있는 것이다.

‘굿 한번 하는 것보다 입춘축이 더 났다’는 속담도 있듯 입춘축은 봄을 기원하는 강력한 주술이 담겨 있다. 입춘축을 씀으로써 비로소 봄을 소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입춘축은 문이나 기둥에 대구(對句)의 글을 지어 붙인다고 하여 춘련(春聯), 대련(對聯)이라고도 한다. 입춘축을 올려붙이는 주련(柱聯)은 기둥마다 시구(詩句)를 이어 건 소위 ‘기둥현판’이다.

울산대곡박물관은 오는 30일 입춘축 나누기 행사에서 1930년대 울산에서 유행하던 32가지 입춘축 문구를 소개한다. 이 문구들은 1933년 울산군 향토지에 실려 있다.

울산에서 가장 많이 쓰인 표현으로는 수여산부여해(壽如山富如海, 수명은 산과 같고 부는 바다와 같기를), 우순풍조시화세풍(雨順風調時和歲豊, 비와 바람은 순조롭고 한해 농사는 풍년들기를), 소지황금출개문만복래(掃地黃金出開門萬福來,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만복이 깃들기를) 등이 있다. 7언절구의 형식으로 지어진 것들도 많다. 울산 사람들의 시적 영감이 가히 경탄할만하다.

▲ 울산대곡박물관 입춘축 나누기 행사.

만리의 상서로운 빛이 집으로 듣어오고(萬理祥光入戶牖)
초봄의 온화한 기운은 모든 문에 가득하기를(一春和氣滿門楣)

달은 사람의 마음을 알아 깊은 동산을 비추고(月知人意來深院)
봄은 꽃소식을 이끌어 긴 가지를 오르네(春引花心上老枝)

봄을 맞는 좋은 새는 뒷담에서 노래하고(好鳥迎春歌後院)
술 보내는 고운 꽃은 주렴 앞에 나부낀다(飛花送酒舞前簾)

1930년대 울산에서 유행했던 입춘방 백미(白眉)는 단연 ‘용약 봉무(龍躍 鳳舞)’다. 용은 도약하고 봉황은 춤춘다…. 이 봄, 울산의 용들이 힘차게 비상하고, 금빛 봉황들이 훨훨 날았으면 좋겠다. 이재명 논설위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