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7대 광역시 중 주차장 확보율이 121.9%로 서울(130.1%)에 이어 두번째로 높다. 울산의 주차난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삼산동의 주차난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입체주차장과 지하주차장, 그리고 주차장의 공유가 대안이라는 답이 잇달아 나왔다. 그러나 무턱대고 주차장을 많이 만들어도 부작용이 일어난다. 텅빈 주차장을 두고 상가 앞까지 바짝 차를 대려는 시민들의 심리를 해소하지 않고는 주차장 해결은 백년하청일 수밖에 없다.

지난 19일 울산발전연구원이 울산시의회 1층 시민홀에서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주차정책’이라는 주제의 울산교통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 김승길 울산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도심상업지역 주차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울산의 대표적인 상업지역은 삼산동이다. 삼산동은 지금도 주차장이 없어 매일매일 주차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삼산동의 문제는 중구의 둔치 주차장 같은 대형 주차장이 없다는 것이다. 대부분 백화점이나 대규모 상가, 아파트 주차장이다. 그러다 보니 술집이나 커피숍, 옷가게 등 작은 가게들의 손님들은 차를 댈 곳이 없어 삼산동 일대를 빙빙 돌아다니는 일이 흔하다. 주차장이 없다는 것은 상권을 쇠약하게 하는 절대적인 요인이기도 하다. 주차장은 생활 속의 지역 경제를 지탱하는 중심 축인 것이다.

삼산동의 주차장 부족은 절대적으로 높은 승용차 분담률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울산의 승용차 분담률은 45.5%다. 버스나 다른 대도시의 전철 같은 대중교통이 많으면 시민들이 승용차를 덜 이용할텐데 울산은 사통팔달의 대중교통이 확보되지 않아 대부분 자가용을 이용해 시내로 나온다.

삼산동의 주차난은 입체주차장과 지하주차장으로 해소하는 것이 맞지만 무엇보다 시민들이 주차장을 함께 공유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주차장 앱들이 많이 나와 울산시가 현장에 잘 적용하면 많은 공영주차장 건설 예산을 아낄 수 있다. 경기도 시흥의 금천구 등과 같은 지자체나 전국 각지의 상가, 상권에도 주차장 공유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특히 울산은 불법주차와 지역별, 시간대별 차량 편중이 심해 주차장 이용이 극히 비효율적인 실정이다.

인구는 줄어들고 있는데 비싼 땅에 큰 예산을 들여 주차장만 자꾸 만들어서는 큰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효율적인 주차대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