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형중 경제부 차장

국내외 경기불황과 미·중 무역분쟁에 이어 일본이 한국을 전략물자 수출심사 우대국인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수출추가 규제까지 겹치면서 산업계에 먹구름이 한층 짙어지고 있다. 울산시도 비상체제를 가동하며 지역기업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에 착수한 모습이다. ‘강대강’으로 맞붙은 한일 갈등이 경제 전면전으로 치닫고 있다.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등 지역주력산업을 비롯한 중견기업과 수많은 협력사가 공존하고 있는 산업수도 울산은 그야말로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당장 수출노선 다변화 등의 단기적 처방과 함께 기업들의 ‘자력갱생’ 확보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비상체제를 가동한 울산시 등 지역 행정기관은 물론 경제계 또한 산업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실질적인 지원책을 모색하는 방안에 더욱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지역 중소제조산업 현장에서는 “제품 국산화에 성공하더라도 국내 대기업 등에는 납품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볼멘 소리를 해댄다. 질좋은 물건을 만들어도 팔 곳이 없다는 게 이들의 하소연이다. 이번 일본수출 규제에 대해 정부가 소재·부품 국산화 대책을 내놨지만, 국산화에 성공하더라도 판로확보가 만만찮다는 얘기다. 대내외 변수로 위기상황에 놓인 지역경제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제조업 육성으로 다시금 돌아가야 하며, 그 바탕에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이 깔려 있어야 한다.

국내 기술·제품에 대한 인식전환과 브렌딩 전략을 넘어 제조업의 취약부분인 연구개발 분야에 대·중소기업의 파트너십 체제 강화도 신경써야 할 부분이다. 중견 및 중소기업들의 자생력 향상은 두말할 것도 없다. 단순히 ‘00사의 협력사’에 그칠게 아니라 그들만의 브랜드를 구축하는 전략 또한 갖춰야 한다. 일본 등 다른 국가들과 견줘 기술력으로 승부하려는 지역 중소·벤처기업이 열악한 R&D 환경에 벗어나기 위해 울산을 외면하려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보다 세심한 대비가 필요하다.

중소기업 지원책 강화도 빼놓을 수 없다. 최근 충북도의회가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처음으로 제정한 ‘충북 중소기업협동조합 육성 및 지원조례’ 등은 대기업 중심의 경제 프레임이 강한 울산이 한번쯤 눈여겨볼 지원책이다.

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한 지역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도 어느때보다 중요해 졌다. 여당은 물론 제1 야당인 자유한국당 울산시당도 “울산의 경우 당장 수소차 생산에 사용되는 탄소섬유와 연료전지, 수소저장·공급 장치 등의 부품과 중소 화학업체에 필요한 각종 원자재 수급, 첨단소재 연구개발 사업, 지역 농산물 수출 등에 차질이 우려된다. 초유의 국가위기 상황에 대해 울산시는 물론 온 시민이 당당하고 의연하게 대처하고 하나가 돼 일본의 경제침략을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한국당은 나아가 위기극복을 위한 법 개정이나 긴급예산 편성의 필요성과 함께 국론 단결까지 강조해 경제살리기에 대한 야당의 의지를 강력하게 표명해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지역 대기업과 중소기업, 여야가 손을 맞잡고 지금의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지혜를 발휘해 나갈 때다. 이형중 경제부 차장 leehj@ksilbo.co.kr

이형중 경제부 차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