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석유제품운반선 스톨트 그로이란드에서 발생한 사고는 재난영화를 방불케 하는 정말 아찔한 사고였다. 이날 사고로 사망한 사람은 없었지만 울산시민들은 울산이 불안한 도시라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그 동안에도 울산에서는 석유화학공단이나 선박에서 크고 작은 폭발화재 사고가 일어났지만 이번엔 일반시민들이 마치 영화를 보는 것처럼 생생하게 사고현장을 목격하면서 불안감이 배가됐다. 바다 위 선박 화재에 그쳤기 망정이지 혹여 공단으로 번졌더라면 생각만 해도 아찔한 일이다. 국가공단의 총체적 안전·재난 재점검이 필요한 이유다.

울산이 화약고라는 사실은 이제 전국이 다 알게 됐다. 그렇다면 울산의 이미지를 되살리는 길은 이번 사고의 원인을 보다 확실하게 규명하는 길밖에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정확하게 원인을 밝히고 다시는 이같은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그런데 이같은 제도적인 장치는 울산시의 힘만으로는 역부족이다.

울산이 화약고가 된 것은 울산에 국가산업단지를 집중적으로 조성하면서 상대적으로 안전과 관련된 시설들은 방치한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와 온산국가산업단지에는 지금도 엄청난 위험물들이 산적해 있다. 그러나 정부는 지금까지 노후시설물이나 위험물 관리 시스템 등을 아직도 제대로 갖추지 않고 있다. 울산시민들은 우리나라의 근대화를 위해 뼈빠지게 일만 했지 이런 위험성에 대해서는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했다. 일부 시민들은 아예 폭발·화재에 무감각해져 있다.

울산지역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에는 유류·화학물질·가스 등 2억여t이 1700여기의 탱크에 저장돼 있다. 여기다 연간 화학물질과 유독물 유통량이 1억3000만t과 3445만t이나 돼 전국 유통량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탱크가 폭발하고 화학물질이 시내까지 확산되면 울산시내의 안전도 장담할 수 없다. 실제 이번 폭발로 유독연기와 휘발성 유해물질 등이 염포동은 물론 남구 장생포, 삼산 등지까지 퍼져나갔다.

이번 사고를 단순한 선박폭발로 치부해서는 절대 안된다. 울산항으로 들어오는 화물들은 대부분이 기름, 화학물질, 가스 등이다. 이번 석유제품운반선에서 일어난 폭발에서 구체적인 원인을 찾되, 화약고 울산의 구조적인 안전재난 대책에 무슨 문제점이 있는지 정부와 함께 확실하게 파악해야 한다. 특히 정부는 국가산업단지에서 일어나는 폭발·재난에 대한 책임있는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울산시도 잇달아 발생하는 폭발화재 사고에 대해 시민들을 안심시킬 특단의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