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게놈(genome)기반 바이오헬스산업’ 규제특구 도전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시는 최근 3차 규제자유특구 공모 사전협의 대상으로 ‘게놈기반 바이오헬스산업’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애초에 이 산업은 울산이 가장 선도적으로 치고 나갔던 산업이다. 그런 면에서 게놈 특구는 다른 도시에 절대 뺏길 수 없는 울산의 자존심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중후장대한 굴뚝산업으로 익히 알려져 있었던 울산의 이미지를 지식기반 산업으로 전환시키는 큰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울산이 게놈 특구에 천착하는 것은 다른 도시 보다 월등한 환경이 있기 때문이다. 우선 게놈기반 바이오헬스 분야는 울산시가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전략산업이다. 여기다 울산과기원(UNIST)을 비롯한 울산대학교, 울산대학교병원, 현대중공업 등의 의료기술과 로봇산업 인프라는 다른 지역에 비해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 특히 시는 지난 2015년 울산 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해 지금까지 주민 게놈건강 리포트 제공 사업을 해오는 등 엄청난 게놈 빅데이터를 구축해 놓았다.

이 가운데 지난해 11월 울산지역 바이오헬스 분야 산·학·연·병원 관계자들이 모여 개최한 제1회 울산 바이오헬스산업 포럼은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UNIST 조승우 교수의 ‘울산 게놈사업의 추진 현황과 발전 방향’, 박병철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 본부장의 ‘바이오 연구개발(R&D) 사업 추진 방향’ 등은 앞으로 울산의 게놈 사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일깨워주었다.

규제자유특구란 규제특례가 적용되는 ‘규제프리존’을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세계 주요 선진국과 달리 유전자 데이터 수집에 한계가 있고 현행법은 의료·건강정보를 활용할 때 당사자의 사전동의를 받아야 한다. 또 병원 이외에 일반 기업들은 유전자 분석과 해독이 불가능하게 돼 있다. 한마디로 우리나라에서 게놈을 활용한 바이오헬스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규제특구 지정을 받는 수밖에 없다. 그 중에 울산이 선두주자여야 한다는 것이다.

울산이 지난해 11월 수소산업 규제 자유특구 지정을 이뤄낸 것처럼 이번에 또 한번의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받을 수만 있다면 울산은 비로소 신산업, 신기술의 꽃을 활짝 피울 수 있다. 특히 울산이 게놈 특구로 지정되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기술력과 자본, 인력 등은 자연스럽게 지역으로 흘러들어 올 것이다.

중기부는 내년 2~3월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 우선 협의대상 여부를 결정한다고 한다. 기존 산업이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울산이 살아날 수 있는 길은 다른 도시 보다 한발 빨리 준비하는 것 뿐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