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마스크 공적판매를 50%에서 80%로 대폭 강화하면서 울산지역 소외계층과 산업현장 근로자들의 마스크가 턱없이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지자체가 취약계층에게 마스크를 무상으로 배부하려 했으나 물량을 확보하지 못했고,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시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나 마스크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마스크 부족이 심화되자 정부의 마스크 사용지침도 오락가락, 국민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

울주군은 5일 65세 이상 주민들에게 마스크를 나눠주려 했으나 물량확보에 실패, 손세정제만 배부했다. 공적판매 물량 제한 조치 때문이었다. 중구도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 780명을 대상으로 마스크 3120장을 구입하려 했으나 물량이 없어 실패했다. 북구도 65세 이상 주민 1만8000명에게 9만장을 배부할 예정이었지만 계속 지연되고 있다.

산업현장은 산업현장대로 아우성이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은 내부 규정상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출근할 수 없으나 현재 지급하는 마스크는 부직포 재질로, 일주일에 2~3개꼴에 불과하다. 그나마도 수급에 애를 먹고 있다. 현대중공업 역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공적판매 확대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수급을 장담하지 못한다.

정부는 마스크 대란이 계속되자 5일 세번째 수급안정대책을 내놨다. 그럼에도 마스크 부족이 해소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정부는 생산량 확대에 한 달이 걸린다고 했다. 정부는 우선순위를 정해 의료진·환자,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저소득층 등에 먼저 배분하고 남는 것은 일반 국민에게 골고루 돌아가도록 하겠다고 했지만 한달이 될지 두달이 될지 알 수 없다.

이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달 12일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사항을 참고해 일상생활을 하는 개인이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시한 바 있다. 이 권고에 따르면 KF80 이상의 보건용 마스크가 필요한 사람은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있거나 환자를 돌보는 경우, 의료기관 방문자, 판매원, 교통종사자, 집배원, 택배기사 등 감염·전파 위험이 높은 직업군 종사자 등이다.

이어 방역 당국은 지난 3일 마스크를 재사용해도 된다는 ‘개정 마스크 사용지침’을 내놓았다. 공급이 절대 부족한 비상상황에서 불가피한 고육책으로 보인다. 그러나 재사용 마스크나 필터가 부착된 면마스크의 비말 차단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과학적 근거를 제시해야만 국민들의 신뢰성을 얻어 마스크 대란을 조금이라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