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에도 긴급재난지원금이 대거 풀리면서 전통시장에 활기가 넘치기 시작했다.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된지 10여일만에 소비심리가 다시 살아난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소비심리가 지속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긴급재난지원금이 고갈되면 소비는 다시 위축될 것이고 시장은 다시 얼어붙을 공산이 크다.

그렇다면 지금 같은 소비를 유지시키는 방법은 없을까. 답은 코로나19 이전의 영업방식에서 하루라도 빨리 탈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19’의 시대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지 않고서는 낙오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모두가 인식해야 한다.

최근 울산지역 전통시장에는 웃음꽃이 여기저기서 피어 오르고 있다. 4~5개월 동안 텅 비어 있던 전통시장에 손님들이 북적이고 있는 것이다. 전통시장 등에 손님들이 몰리는 것은 대형상점과 백화점 등에서는 긴급재난지원금을 쓸 수 없기 때문이다. 전국소상공인 카드결제정보 등을 관리하는 한국신용데이터에 따르면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이 시작된 5월 둘째주 울산지역의 매출 수준은 지난해 수준을 거의 회복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전통시장이나 골목상권이 되살아 났다고 자만하기에는 너무 이르다. 상권이 회복되려면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상층부 경제가 탄탄해야 하는데, 울산은 오히려 자동차, 조선 등의 경기가 되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나 다름없다. 정부 일부 부처에서는 밑바닥 경기가 회복될 움직임이 보인다면서 홍보를 하고 있지만 이런 홍보는 오히려 국민들의 판단을 더 흐리게 할 수 있다.

지금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제2차, 제3차 코로나19 파동이 와도 밑바닥 소비경제가 흔들리지 않도록 소비의 기초를 단단히 다지는 것이다. 전통시장에서 마스크를 철저하게 착용하도록 하고 음식점에서는 환풍을 완벽하게 하며, 손 소독은 물론 테이블이나 식기 등을 깨끗하게 닦는 것 등도 준수해야 할 기본들의 하나라고 하겠다. 최근 상권을 돌아보면 마스크를 벗고 조리하는 종업들이 태반이고, 손님들을 다닥다닥 붙여 앉게 하는 음식점도 대부분이다. 이런 상황에서 쏟아 붓는 긴급재난지원금은 위축된 소비의 마중물 역할을 결코 할 수 없다.

울산에서는 21일까지 총 41만여 가구 중 34만여가구가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받았다. 울산에는 총 3100억여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이 풀린다. 긴급재난지원금이 다 소진되기 전에 울산시와 소상공인들은 지원금의 용도와 역할을 한번쯤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