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대학들의 신입생 모집에 비상이 걸렸다.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역 대학들이 똑같은 고민에 휩싸였다. 정부 차원에서 조만간 지역 대학 정원을 조정하고, 경쟁력이 있는 지방 거점 대학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지역 대학들의 붕괴는 불을 보듯 확실하다. 지방대학과 지역은 함께 가는 동반자 관계다. 대학이 없으면 지역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지역의 경쟁력이 떨어지면 대학 또한 소멸할 수밖에 없다.

울산대는 2021학년도 신입생 정시모집 마감 결과 753명 모집정원(정원 내)에 1725명이 지원해 평균 2.29대 1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 같은 경쟁률은 지난해 3.39대 1보다 크게 하락한 수치이자 최근 10여년새 최저치다. 특히 학생 한 명이 3곳의 대학에 중복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사실상 ‘미달 수준’인 셈이다. 울산과학대학교도 정시 모집정원 236명에 1035명이 지원해 4.3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는데, 역시 지난해 경쟁률 5.58대 1에 비해 하락한 수치다.

지역 대학들의 경쟁률 하락은 울산 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현상이다.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원서를 낸 수험생은 49만여명인데, 대학 모집 정원은 55만여명이다. 모집정원 보다 수험생 수가 6만여명나 적은 것이다.

대학 붕괴의 가장 큰 원인은 학령인구 감소다. 인구가 정체되거나 줄어들면서 수험생도 갈수록 줄고 있는 것이다. 지방대학은 장학금 혜택과 같은 여러 유인책을 내놓았지만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 이유는 학생들이 지역 보다는 서울과 수도권으로 몰려가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과 수도권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영역의 중심으로 인식되면서 지방의 학생들이 수도권 쪽으로 쏠리고 있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지역에서는 학생 빈곤 현상이 깊어지고 서울과 수도권에는 인구가 넘쳐나는 기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울산은 그러한 현상이 유독 심하다.

정부는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을 같은 선상에 올려놓고 무한 경쟁을 유도해서는 안 된다. 지역과 대학은 운명 공동체이기 때문에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 정부는 지자체와 함께 권역별 학령인구 감소 추세와 지역산업 여건 등을 감안해 종합적인 지방대 회생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지역 대학들도 가만히 있지 말고 나름의 자구책을 찾아나서야 한다.

대학 정원 미달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정원 미달은 학교 운영에 필요한 등록금의 부족을 초래하고, 등록금 부족은 교수 채용이나 교육 장비 구입을 어렵게 만든다. 또 궁극적으로는 대학과 지역사회의 질적 하락과 연결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