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조가 새로운 개념의 노동운동을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이름하여 ‘사회적 조합주의’다. ‘사회적 조합주의’는 한마디로 노사가 대립적 노사관계를 청산하고 상생하자는 뜻을 담고 있다. 이전부터 ‘상생’을 화두로 한 노동운동 이념은 많이 나왔지만 ‘사회적 조합주의’이라는 명칭을 대외적으로 사용한 것은 처음이다.

‘사회적 조합주의’는 친환경 미래차 시대의 도래 등 급격하게 돌아가는 산업 전환기를 염두에 둔 개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전기차, 수소차 등 새로운 개념의 자동차가 쏟아져 나오는 와중에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연적인 선택이기도 하다. ‘공존’과 ‘공생’은 그런 차원에서 ‘사회적 조합주의’의 핵심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초부터 대립적 노사관계 청산을 주장해 왔다. 이상수 현대차 지부장은 지난해 1월 초 신임 집행부 출범 보도자료를 내고 “새 술은 새 부대에 담는다는 심정으로 모든 것을 새롭게 만들어 가겠다”면서 “소모적·대립적 노사관계를 청산하고 생산적인 노사관계를 만들려는 노조 노력에 사측이 적극적으로 화답하기를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서로를 적대시하는 ‘낡은 노사 관계’는 노사 모두에게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의 변화를 요구하는 선언이었다.

그가 말한 대립관계 청산은 이번 ‘사회적 조합주의’의 맥락과 닿는다. 자동차 패러다임이 급변하는 시점에 노조의 이같은 변화는 사실상 생존을 위한 전략이기도 하다. 노조는 “사측은 신차 연구개발과 미래 투자 정보를 노조와 공유하고, 노조는 품질과 생산성을 주도적으로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며 “시장 상황에 따라 합리적인 배치전환이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품질이 물량이고 물량이 고용안정이라는 등식”을 내세우며 배치전환을 인정한 것은 노사관계에 있어서의 엄청난 변화에 대한 예고이기도 하다. 물론 노동자 권익 개선 운동, 노사정 협의를 통한 분쟁 해결, 사회적 약자와의 연대 강화 등도 잊지 않았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내연기관 자동차 보급률은 포화상태에 이르렀고 차를 이용하는 방법도, 소유하기보다 공유하고 단기로 임대하는 형식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 상황에서 전 지구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19는 아직도 진행형이다.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미래차로 급변하는 시점에서 현대차 노조의 긍정적인 변화는 주목할 만하다. 현대차 노조의 ‘사회적 조합주의’가 새로운 시대를 대비하는 새로운 노사관계의 시작이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