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청년들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청년들은 도시의 미래이자 꿈이지만 울산의 청년들은 지금도 울산을 버리고 다른 도시로 떠나고 있다. 청년들을 잡지 못하면 도시의 미래는 암울해질 수밖에 없다. 고령층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면서 도시 자체가 활기를 잃게 되는 것이다.

울산시는 18일 상황실에서 제1회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개최해 ‘2021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시는 이날 회의에서 올해 청년정책에 585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울산시의 이같은 예산책정은 울산의 심각한 청년문제를 감안했을 때 결코 큰 것이 아니다. 오히려 예산을 더 늘려 적재적소에 효율적인 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걸맞은 일자리들을 만들어 청년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시에 따르면 울산 청년인구(19세~34세)는 전체 인구의 19.8%로, 2020년말 기준 22만6000명이다. 2017년 24만7497명, 2018년 23만8571명, 2019년 23만2783명으로 매년 급감하고 있다. 청년고용률은 2017년 40.9%에서 2018년 40.4%, 2019년 39.1%, 2020년(4분기) 37.5%로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청년실업률은 지난해 10.8%로 최근 4년사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국 8.2%보다 2.6%p 높은 수치다. 코로나19와 주력산업 침체로 청년고용률과 청년실업률이 동시에 곤두박질 친 것이다.

시는 올해 청년정책과 관련해 5개 분야 65개 세부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다. 5개 분야는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이다. 이들 분야는 청년들에게 하나같이 다 중요한 것들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일자리라고 단언할 수 있다. 일자리가 없으면 청년들은 미련없이 도시를 떠나게 마련이다. 울산의 청년들이 매년 줄어들고 있는 것은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 분야에서조차 일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코로나19의 여파도 분명 있을 것이다. 1년 동안 많은 서비스업들이 문을 닫거나 종업원을 대폭 축소해 왔다.

청년들도 전통적인 일자리를 고집해서는 안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일자리는 이제까지 못 봤던 일자리, 한번도 체험하지 못했던 창조적인 일자리 등으로 변해야 한다. 정부는 지난해 디지털 분야와 사회서비스 분야 등에서 모두 30만개의 일자리 창출을 추진한 바 있다. 이렇듯 새로운 사회서비스, 4차산업과 접목된 디지털 일자리 등에 우리는 천착해야 한다. 허울좋은 구호가 아니라 보다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청년 정책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