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을 중심으로 한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이 일부 변경된다. 이번 변경안은 울산 중심으로 짜여졌다는 점에서 눈여겨 볼만하다. 특히 울산이 중점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에너지 분야가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과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향후 울산지역 미래산업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지난 2010년 최초로 수립된 이후 대내외 여건 및 정책환경을 반영하기 위해 지난 2016년 1차 변경안을 수립했다. 이어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법의 유효기간이 2020년에서 2030년으로 연장됨에 따라 이번에 2차 변경안을 마련한 것이다.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특별법에 근거한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울산·강원·경북의 해안선에 연접한 15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울산시와 경상북도, 강원도가 공동으로 입안한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 2차 변경안은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관계부처 협의와 의견수렴, 국토계획평가, 국토정책위원회 최종심의를 거쳐 결정된다. 울산의 경우 오는 12일 주민과 전문가 등이 참여한 가운데 의견 수렴을 할 예정이다.

이번에 마련된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울산지역 미래산업의 성장동력과 연관돼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우선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지속가능한 환동해 블루 파워벨트’를 비전으로 4개 추진전략을 수립해놓고 있다. 첫번째가 ‘에너지산업의 성장동력화’이고, 다음이 ‘산업 고도화 및 신산업 육성’, ‘글로벌 신관광허브 구축’, ‘환동해권 소통 연계 인프라 확충’ 등이다. 이들 4개 전략 가운데 ‘에너지산업의 성장동력화’와 ‘산업 고도화 및 신산업 육성’ 등 2개는 울산과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는 것들이다.

사업비를 지역별로 보면 울산이 30%, 강원이 32.5%, 경북이 33.2%, 공동 4.3%로 구성됐다. 지역별로 보면 울산의 사업비가 상대적으로 적어보이지만 사업내역을 살펴보면 굵직굵직한 기간 산업은 울산에 몰려 있다. 전략별 사업비 비중을 보면 ‘에너지산업의 성장동력화’ 전략의 경우 울산시가 67.2%를 가져갔다. 다음으로 ‘산업 고도화 및 신산업 육성’ 전략은 경상북도가 61.3%를 차지하게 됐다.

일부 지자체에서 이번 종합계획이 울산에 편중돼 있다고 지적하고 있지만 거꾸로 울산에서 바라보면 도시의 특성을 잘 반영한 균형적인 계획이라는 평가가 더 많다. 울산과 경북, 강원이 지역 특성에 맞는 발전모델을 잘 가꿔나간다면 동해안권은 향후 북방정책의 중요한 기반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