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 ‘전례 없는 위기’ 경고음
주력산업 체질 개선 등 산업구조 재편
산업수도 자산 총동원, 위기 극복해야

올해 글로벌 경제가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할 것이라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미·중간 패권경쟁과 경제회복 지연, 우크라이나 전쟁 확대와 에너지 불안, 주요국의 부채 문제, 인플레이션 지속 등은 수출 주도형 한국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미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흔들리고 있고, 내수 소비도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현재 우리 경제를 성장과 물가, 수출 등 고용을 제외한 대부분의 분야에서 부진한 ‘복합위기’로 규정, 위기관리 국면에 돌입했다. 이 복합위기는 수출로 돌파하겠다는 대안도 제시했다.

이런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을 1.7%로 전망했다. 종전보다 0.3%p 내렸다. 한국 경제에 대한 눈높이를 낮춘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양대 수출국인 미국 성장률은 올해 1.4%, 내년에 1.0%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은 올해 5.2%, 내년에 4.5%의 성장률을 각각 기록할 것으로 IMF는 전망했다. 빅2 경제권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매우 높은 울산 수출은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정유·석유화학, 자동차, 조선 등 3대 제조업의 수출주도형 산업구조를 가진 울산이 시시각각 다가오는 ‘복합 경제위기’의 파고를 넘을 수 있을까. 벌써부터 불안감이 엄습해 오고 있다. 1962년 ‘특정공업지구’ 지정 이후 3대 제조업 수출 일변도로 ‘갈라파고스화’하고 있는 산업구조의 약점에 발목이 잡히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수도임을 자임하는 울산은 디지털혁명, 4차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물결에서 낙오되고 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배터리, 인공지능(AI), 로봇, 빅데이터, 바이오 등 글로벌 경제추세와 동떨어진 채 3대 주력 제조업에만 올인 하다시피 한 탓에 산업적 고립을 자초하고 있는 상황이다.

울산의 산업구조(2021년 기준)는 제조업 60.9%, 건설업 3.6%, 전기가스업 2.3%, 서비스업 33.0%다. 제조업 비중(전국 28.0%)은 17개 시도 가운데 압도적인 1위인 반면 서비스업 비중(전국 63.2%)은 가장 낮다. 해가 갈수록 중후장대형 제조업은 비대해지는 반면 서비스업은 축소되는 ‘역주행’의 흐름을 밟고 있다. 60년 전이나 지금이나 이 같은 산업 생태계에는 큰 변함이 없다. 울산의 곳간을 채운 이들 효자 산업은 이제 고도성장을 멈추고 저성장의 늪에 빠지면서 울산의 위기로 부메랑이 되고 있다.

지난 60년간 주력 제조업 중심의 고도성장의 달콤함에 젖어 신성장 산업 육성 등 산업체질 개선에 소홀한 결과다. 광역시 승격이후 장밋빛 가득했던 울산의 주요 정책들은 산업도시 울산의 미래를 업그레이드시켜 줄 ‘생존전략’으로 정착하지 못했다. 민선 3~5기 울산시는 세계4대 오일허브 구축·전지산업의 제4주력산업화와 원전산업 육성에 주력했다. 민선 6기는 인구 180만명의 ‘동북아 경제허브 창조도시’ 건설·3D 프린팅 산업 육성, 민선7기는 세계 최고 수소도시 조성에 많은 공을 들였다. 하지만 시작만 창대했을 뿐 결과는 미미했다. 정권이 바뀌어 추진동력을 잃거나 산업 생태계 변화에 대응동력을 상실하면서 싹을 틔우지 못하거나 열매를 맺지 못했다.

때문에 울산은 지난 2011년 지자체 최초로 수출 1000억달러를 돌파한 이후 매번 산업위기를 되풀이하고 있다. 외부 충격에 약한 산업구조에다 미래를 내다본 집중 투자와 R&D 기능 약화가 발목을 잡은 악순환의 고리는 끊어내지 못한 결과다. 분명한 것은 어떤 위기도 예측하고 대비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임박한 대내외적 복합위기에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한 준비와 대응력 강화에 지역경제 주체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지역경제인들 한자리에 모여 ‘다시 뛰자’는 구호만 반복해서 외친다고 해서 울산경제가 절로 궤도에 올라서지는 않는다.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절대 흔들리지 않겠다는 각오로 산업수도로서의 자산과 전문가적 역량을 총동원해 위기 극복에 나서야 할 때다.

김창식 디지털미디어국 부국장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