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 경제는 101조가 넘는 공적자금이 지원되었지만 또다시 IMF체제로 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자아낼 정도로 적신호와 침체를 보이고 있고, 구조개혁의 과정에서 발생한 충돌과 아픔으로 사회적 불안이 크다. 그런데도 정치권은 출처불명의 선거자금 유포 등으로 시민의 아픔은 도외시한 채 당리당략에만 치우친 정치행태를 보이고 있다.  사회곳곳에서 빈발하는 부조리로 정부와 의회는 국민들의 불신을 당하고 있다. 지방정부도 예외일 수는 없다. 이러한 불신을 개선하는 것은 어느 개인이나 시민단체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모든 국민이 힘을 모아 방안을 찾아내고 실천해나가야 할 때다. 아울러 시의원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막중하다 할 수 있다. 시정운영을 감시·비판·견제하는 지방의원들이 민선 지방자치시대를 선도적으로 이끌어 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지방의원들과 울산시민들에게 새해벽두에 몇가지당부를 하고자 한다. 먼저 시의원들에 대한 당부다.  첫째, 부정부패를 뿌리 뽑는데 앞장서는 깨끗한 의정활동을 부탁한다. 아직도 우리나라는 떡값, 접대비, 후원금 등의 명목으로 뇌물을 수수하여 구속되는 공무원, 국회의원, 시의원들의 명단이 자주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시정에 대한 감시와 견제는 시의원들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울산시정에 대한 행정사무, 결산 감사를 보다 철저히 준비하고, 현장 확인을 통하여 실속있게 시정을 감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의 이해에 얽매이지 않고 다수의 이익을 대변하는 의정활동을 기대한다.시의원은 울산시민 전체를 대표한다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사안의 경중을 가려 효율적이고 진지한 예산심의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의정 풍토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셋째, 시민의 여론을 수렴하고,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의정활동을 당부한다.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울산시도 중요한 사업에 대하여 여론수렴의 절차를 밟고 있으나그 절차가 매우 형식적이다. 실질적인 여론수렴이 되기 위해서는 시가 제출한 안건에대하여 시의회에서 다시금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시의회는 다양한 시민들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수렴하여, 화합하는 지역공동체를 만드는 장이 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연구하는 의원상을 볼 수 있었으면 한다. 아직까지 시의회가 발의한 조례 건수가 전체의 10%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 시민들의 다양한 민원에 대하여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연구하는 의원들이 많아져 시정을 선도해가는, 선진의회의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그리고 시민단체의 대표로서 시민들에게 당부하고픈 말이 있다.  첫째, 지방자치는 시민들이 적극적인 참여로 그 빛을 발한다는 것이다. "국가의 수준은 국민의식의 수준을 반영한다"는 말처럼 울산시의 수준은 울산시민의 의식수준 여하에 달려 있다. 민선시장과 시의원을 뽑아놓았으니 알아서 잘 하겠지 하는 막연한 믿음이나 무관심은 울산의 발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살기좋은울산건설은 시나 시의회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정보통신이 발달된 현대사회에서는 인터넷을 통해서도 시민참여는 가능하다.  둘째, 비판과 불평보다는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의 길을 찾는 것이 현명한 시민이라는 것을 이야기 하고 싶다. 사회적인 문제는 어떠한 것이든 뿌리가 깊다. 시민운동을 통하여 단시일안에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는 없겠지만, 인내를 가지고 꾸준히 실천하면 점진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시민운동단체에 참여하는 것은 민주시민의 의무 중의 하나이다. 시민없는 시민운동은 무의미하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만이 성숙된 시민사회를 만들 수 있다. 비록 경제가 어렵고 생활이 힘들수록 적극적인 참여로 민주시민의 긍지를 보여야 한다.  살기 좋은 우리 울산은 100만 시민 모두의 것이다. 시민의 참여와 관심 속에서만이성숙된 지방자치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바로 21세기에 지향하는 시민의식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