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는 12일 김대중 대통령이 연두기자회견에서 전자 정부를 실현하고 정부와 공기업, 민간부문이 전자상거래를 상시 실시토록 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후속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정통부는 오는 2월 청와대에서 열릴 예정인 정보화전략회의에 앞서 전자 정부구현을 위한 구체적 실천계획을 마련키로 하고 각종 전자상거래 관련 지원사업을총괄할 전자거래기반팀(팀장 유수근 서기관)을 정보화기획실 산하에 구성했다.  특히 전자상거래의 조속한 활성화를 위해 파급효과가 큰 공공부문의 선도적 역할이필요하다고 보고 정부조달 업무 전반의 전자화를 본격 추진, 조달문서 전자처리 비율을 80%이상, 전자조달 참여기관을 2만7천여개 모든 수요기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한전, 한통 등 26개 정부투자 및 출자기관 전자조달의 조속한 가속화를 위해 공기업 경영평가 등을 통해 금년중 전자조달 평균비율을 50% 수준으로 제고하고이를 다른 공기업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국방 전자거래 체계를 완성할 수 있도록 시범운영중인 국방분야 조달EDI(전자문서교환) 시스템을 연내 시행하고 2005년 완료목표인 건설분야 조달EDI시스템구축도 사업기간을 단축, 오는 2003년부터 시행키로 했다.  정통부는 동시에 기술수요가 크고 개별 기업에서 개발하기 어려운 핵심기술과 차세대 전자상거래 기술개발을 위해 산·학·연공동 연구체계를 구축, 관련기술을 개발, 민간업체에 이전토록 내년까지 총643억원의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