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상평공단 폐수를 처리하는 환경시설관리공사 방류구에서 높은 수치의 다이옥신이 발견돼 환경사각지대로 전락하고 있다.  특히 상평공단의 수질과 대기 배출시설에 대한 관리감독권이 낙동강환경관리청에 있어 관할 자치단체에서는 관리가 불가능해 이를 장기간 동안 방치했을때는 남강오염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남도와 진주시, 지역환경단체, 학계 등이 최근 합동조사반을 구성해 남강수계에 대한 5개 지역에 대해 다이옥신 조사를 벌인 결과 상평공단 폐수처리시설인 환경관리공사 방류구에서 높은 수치의 다이옥신이 검출, 남강오염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조사에서 환경시설관리공사 방류구에서는 지난해 9월 환경부가 자체 조사한 금산교의 다이옥신 검출량 0.502pg-TEQ/ℓ보다 무려 13배나 높은 6.577의 수치가 검출된 것으로 밝혀졌다.  시민들은 "시가 상평공단 오염배출업소에 대한 철저하고 지속적인 지도단속 등 체계적인 환경관리를 실시해 푸른 남강을 보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현행 법규상 지자체는 공단 오염배출업소에 대한 지도 감독권이 전혀 없어 상평공단의 환경관리는 낙동강환경관리청에 의존해야 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낙동강환경관리청이 구조조정으로 인한 인력감축에 따라 기존의 상평공단에근무하고 있던 환경관리공사 직원들을 본청으로 불려들이는 바람에 사실상 관리가 제대로 안되고 있다.  게다가 낙동강환경관리청은 상평공단 오염배출업소에 대해 매월 1회 정기점검을 벌이고 있다고는 하나 제한된 인원으로 200여개에 이르는 업체를 관리해야 되기때문에 이들 업소에 대한 점검이 형식적인 점검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대부분이다.  진주시 환경담당 공무원은 "상평공단 오염배출업소에 대한 관리감독권이 없어 타기관에서 부정기적으로 실시되는 단속에 참여하는 것이 고작"이라며 "푸른 남강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공단의 오염배출업소에 대한 관리감독권을 지자체에 이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진주=강정배기자kjb@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