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대형병원에서 1차 진료가 허용되는 가정의학과가 제구실을 못하고 외래환자를 유치하는 창구로 전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사실은 최근 대한가정의학회가 가정의학과를 개설한 전국 38개 3차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작년 7∼11월 사이 타과 의뢰율을 조사, 보건복지부에 보고한 결과에서 드러났다.  12일 대한가정의학회에 따르면 이 조사에서 학회가 권고하는 타과 의뢰율 10%미만 유지를 지키지 않은 병원이 8곳(24%)이나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C병원은 조사기간 중 전체 가정의학과 외래환자 4천260명 가운데 64%인 2천727명을 다른 진료과에 의뢰한 것으로 조사돼 타과 의뢰율이 가장 높았다.  H병원은 4천570명의 외래환자 가운데 2천21명(44.2%)을 다른 진료과로 보냈다.  B병원(29.6%), 또 다른 B병원(22.6%)이 그 뒤를 이었고, 국립병원인 J병원도 타과 의뢰율이 18.4%나 됐다.  타과 의뢰율이란 가정의학과에서 진료한 환자를 병원 내 다른 과에 의뢰, 재진료토록 한 비율을 말한다.  정부는 의료전달체계 개선을 위해 지난해 2월 3차 의료기관의 1단계 진료를 전면 금지하는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기준 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하면서 가정의학과와 재활의학과 등 일부 과에 한해 예전처럼 1차 진료를 허용했다.  정부는 그러나 대형병원의 환자 집중현상이 가속화된다는 개원의들의 비판을 의식해 학회에서 타과 의뢰율이 높은 병원을 자체적으로 제재하도록 하고 있다. "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