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대통령은 11일 기자회견에서 새로운 국정구상을 밝히기 보다는 국정 현안 전반과 주요 쟁점들에 대해 국민들에게 직접 정부·여당측의 기존입장을 상세히 설명하는데 주력했다. 김대통령은 민주원칙과 법질서를 준수하고 국민여론을 중시하는 강력한 정부를 실현하겠다는 전제 아래 금년 국정지표로 민주인권국가의 구현, 국민 대화합의 실현, 지식경제강국의 구축, 중산층과 서민의 보호, 남북평화협력의 실현을 내세웠다. 김대통령은 우리가 현재 시련을 겪고있고 정치가 불안정하며 체감경기가 매우 나쁜상황이라고 인정하면서도 그동안 밝혀온 국정운영 방향이나 정국 대처방안의 정당성과 당위성을 재확인하면서 대국민 설득에 역점을 두었다. 그리고 민주당의원 4명의 자민련 이적 사태와 관련해서는 국민들의 비판은 겸허히 듣겠으나 야당이 이를비판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면서 그 이유를 상세히 설명했다. 경제정책 방향과 관련, 김대통령은 "구조조정이 우선"이며 "경기대책은 보완적"이라고 그 우선순위를 정리함으로서 금융·기업·공공·노사 등 4대개혁을 강력히 추진해 나갈 것임을 분명히 했다. 특히 21세기는 정보화가 승부를 결정하는 세기라면서 세계 일류의 지식경제강국을 만들어 가겠다고 약속했다. 그리고 경제회복을 위해서는 심리적인 문제가 중요하다고 한 것은 모두가 경제를 살릴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도록 호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현실적으로 은행을 제외한 금융시스템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고 기업활동이 크게 위축돼 있으며 증시가 얼어붙고수출이 불안해지는 등 경제난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남북문제와 관련, 우리가 북한에 끌려다녔다는 일부 비판을 의식해서인지 남이 북에 끌려다닐 일도 아니고 또한 북이 남에 끌려다닐 일도 아니라면서 김정일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예정대로 이뤄지면 평화정착과 교류협력이 확고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통령의 연두 기자회견은 국정 최고책임자가 국정전반에 대해 국민들에게 자신의 입장과 정책방향에 대해 상세히 피력할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이제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느냐는 국민들의 몫이다. 국민들의 반응에 따라 김대통령의 향후 국정운영 방향에도 영향을 미칠수도 있다는 점에서 국민들의 반응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