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7년 IMF 금융지원 이후 실업대책을 추진하면서 공공 직업안정기관이 대폭 늘어났으나 체계적인 직업 프로그램이나 전문성의부족으로 심층적인 취업지원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됐다. 노동부가 10일 발표한 "고용안정업무 발전계획"에 따르면 전국의 직업안정기관은고용안정센터 122곳, 인력인행 20곳, 1일취업세터 16곳 등 공공기관 158곳을 비롯, 지방자치단체 소속 281곳, 민간 유·무료 직업소개기관 2천983곳으로 집계됐다. 공공 직업안정기관은 97년말 IMF금융지원 이후 실업대책 추진 과정에서 급증, 97년말 53곳에서 98년말에는 134곳으로 늘어났고, 현재는 158곳이다. 직업상담원도 97년말 1백여명에 그쳤으나 98년말에 1천296명, 현재 2천90명으로 크게 늘었다. 노동부는 이들 직업안정기관이 구인·구직자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머물고 있고 심층정보 및 직업지도 프로그램이 제대로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취업정보센터와 무료직업소개기관 등 취업지원기관간의 업무연계 체계도 미비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노동부는 앞으로 △구인·구직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도록 사이버채용 시스템을 구축하고 직업정보 제공매체를 다양화하며 △청소년·성인·고령자·여성 등 구직자 유형별로 맞춤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문 직업상담 인력을 확충하며 △민간직업소개기관과 공공직업안정기관의 연계를 강화하는 등 체계적 공공직업안정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