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와 경찰의 불법 주·정차 행위와의 전쟁 선포에도 불구하고 울산시내 한전로, 삼산로, 번영로, 학성로 등 주요 간선도로변이 불법 주·정차 차량에 점령당한채 교통흐름에 지장을 초래, 전시행정이라는 지적을 사고 있다.  특히 울산시와 경찰은 이번주부터 합동 단속 체제에 돌입, 주간위주의 단속에서 주·야간 24시간 단속체제에 들어간다고 발표했지만 주요 교통체증 구간과 간선도로변은 주·야간 가릴 것없이 불법주·정차 차량들로 여전히 몸살을 앓고 있다.  울산시는 지난 2일 교통문화 총지수 가운데 전국 최하위 수준인 주·정차행위를 방치할 경우 사회문제로 확산될 우려가 높다며 경찰과 합동으로 불법주정차 행위와의전쟁을 선포했다 .  시는 또 사전계도 위주에서 견인위주의 강제단속 체제로 전환, 경찰 및 행정공무원30명의 특별단속반을 편성해 매일 주간단속과 병행해 오후 5시부터 12시까지 야간 특별단속을 실시하기로 했다.  그러나 9일 현장 확인 결과 시청사거리에서 한전앞까지의 한전사거리를 비롯해 공업탑로터리~현대백화점간 삼산로, 번영교에서 중부서간 번영로, 학성가구거리 등에는 여전히 불법 주정차 차량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  또 야간의 경우 삼산로 등 주요 간선도로는 물론 태화·신복로터리 주변 등 교통체증이 심한 지역에 불법 주정차 행위가 종전처럼 되풀이 돼 울산시의 불법 주정차행위 단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시가 충분한 주차장 확보대책도 마련하지 않은채 무차별적 단속을 요구, 기초자치단체들이 단속인원 부족을 호소하는데다 기존의 계도위주에서 갑작스런 강제견인과 스티커 발부로 전환할 경우 주민반발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월드컵 등 국제행사를 위해 갑자기 강제단속을 벌인다고시민들의 교통문화의식이 개선되지 않는다"며 "선진 교통문화 정착을 위한 사전 충분한 계도에 이은 적극적인 단속이 아쉽다"고 지적했다. 김창식기자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