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년 4·11총선당시 안기부의 선거자금을 지원받은 총선후보 180여명의 명단과 받은 돈의 액수가 9일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지자 검찰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며 수사정보유출경위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검찰 수사 관계자는 이른바 안기부 리스트 유출에 대해 "일부 내용이 사실과 다르고 돈의 액수 등은 가변적"이라면서도 안기부 리스트를 검찰이 작성,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부인하지 못했다. 언론에 보도된 내용처럼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자료는 없지만 계좌추적작업이 진행되면서 수시로 명단을 정리해 왔다는 것이 검찰의 설명. 검찰내에서 안기부리스트를 일괄 관리할 수 있는 인사는 수사라인에 국한될 수밖에없다. 조직상 검찰총장-대검차장-중수부장이 핵심 사령탑이고, 수사기획관-중수2과장-수사팀이 실무선이라 할 수 있다. 핵심 수사정보라 할 수 있는 안기부 리스트가 만들어져 관리하는 주체가 검찰인 만큼 경위야 어떻든 유출과정에 검찰이 무관할 수 없다는 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 검찰은 수사상황을 청와대 등에 보고한 적이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세세한 내용은일일이 다 보고하지도 않는다고 주장했다. 한두명도 아니고 180여명의 명단과 액수가 한꺼번에 빠져 나간 점에 비춰 검찰이든정치권이든 숨은 저의를 의심받을 수 밖에 없다는데 검찰의 고민이 있다. 검찰은 과거 한보 리스트 유출 문제로 당시 수사 사령탑인 중수부장이 전격경질되는 초유의 사태를 겪은 바 있다. 최근에도 선거관련 수사상황을 담은 문건이 언론에 유출, 공개돼 범인색출 작업을 벌이느라 검찰 내부에서 한바탕 소동이 벌어진 바 있다. 검찰의 고위 관계자는 "안기부 리스트에는 범죄와 무관한 인사들의 명단과 수수금액이 담겨 있다"며 "수사 주체로서 응분의 책임을 느끼지만 일단 유출 경위는 철저히 조사해 밝혀낼 생각"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