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가 우리나라 보건당국의 수출용 백신 적합성 여부 검사 실험시설이기준미달이라며 개선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져 생물학적 제제관리에 대한국가 공신력이 크게 실추됐다는 지적이다.  4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WHO는 저개발국 아동을 대상으로 B형간염 예방접종사업을 펴고 있는 국제아동기금(UNICEF)의 요청에 따라 UNICEF에 백신을 납품하는 제조회사와 해당국가 정부기관을 상대로 2년 주기로 백신 품질관리실태와 검정능력시설에 대해 현지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7개 B형간염 백신 생산업체 가운데서 녹십자와 제일제당, LG화학 등 3개 업체가 UNICEF에 백신을 공급하는 납품회사로 선정돼 지난 99년 7월부터 8월까지 WHO로부터 국가검정기관인 식약청과 함께 납품백신의 적합여부에 대한 현장방문실사를 받았다.  이 과정에서 3개 납품업체들은 품질관리와 관련해 지적을 받고 이를 시정했다.  그러나 WHO가 지난 99년 12월초 식약청에 보낸 공문에 따르면 식약청의 경우 14개 사항에 걸쳐 백신에 대한 국가검정능력과 관련한 시정지적을 받았지만 무균실험실 집중화, 실험실 통합, 실험장비에 대한 정기 점검 프로그램 실시 등 실험시설 부분에대해서는 아직까지 시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식약청 관계자는 이에 대해 "식약청이 충북 청원군의 오송단지로 이전할 계획인데다 협소한 건물공간 등 열악한 실험환경 아래서는 WHO가 요구하는 완벽한 실험시설을 갖출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WHO의 이런 지적사항이 시정되지 않으면 당장 연간 430억원 규모인 3개 국내 백신 제조회사의 UNICEF 납품이 중단되고 이에 따른 손실액에 대한 국가배상요구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특히 WHO가 7월께 식약청에 대해 재실사를 실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식약청에 비상이 걸렸다.  식약청은 이를 위해 39억원의 예산을 긴급 확보, 내년까지 지하 1층, 지상 3층, 연건평 1천200평 규모의 생물학적제제 실험동 건물을 신축해 여러곳에 흩어져 있는 무균실과 실험실을 국제규격에 맞게 통합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