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옛안기부 선거자금 제공 의혹사건 수사를놓고 야권에서 정치적 의도를 가진 편파수사라는 의혹을 제기하자 지난해부터 시작된 이 사건의 수사 경위를 제시하며 반론을 펴고 있다. 검찰은 4일 한나라당이 이번 수사를 "자민련 의원 이적 파문을 희석시키기 위한 국면 전환용이자 정략적 음모"라고 비난한 데 대해 "수사 경과를 들여다보면 정치적의도와는 무관함을 자연스럽게 알수 있다"고 반박했다. 실제 이번 안기부 선거자금 수사는 당초 지난해 2월부터 본격화된 경부 고속철로비의혹 사건에서 불거져 나왔다. 프랑스 알스톰사가 94년부터 경부고속철 차종으로 TGV가 선정되도록 하기 위해 재미교포 로비스트 최만석씨(60·수배)를 동원, 거액을 정·관계에 제공한 의혹을 밝혀내는 것이 검찰 수사의 본류였다. 검찰 수사결과 알스톰사 한국지사장 부인 호기춘씨는 최씨로부터 395만달러를 건네받은 혐의가 드러났고 호씨는 기소된 뒤 현재 재판에 계류중이다. 검찰은 고속철 로비자금을 찾기위해 최씨의 친인척 계좌를 집중적으로 뒤지던중 경남종금에서 최씨의 돈이 뒤섞여 흘러들어간 여러 계좌에서 정체불명의 뭉칫돈이 입출금된 사실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거액의 뭉칫돈이 발견된 시점은 지난해 7월이라는 게 검찰의 설명이다. 처음에는 거액의 돈이 고속철 로비 자금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됐으나 고구마줄기처럼 이어지는연결 계좌를 따라가다 보니 황명수 전 신한국당 의원 관련 계좌도 나오고 고속철 로비와는 무관한 안기부 자금관리 계좌도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는 것. 이때부터 검찰은 안기부 자금의 실체와 규모, 사용처 등에 대한 본격 추적에 돌입했고 지난해 10월 일부 언론에서 안기부 자금의 구여권 총선자금 유입 사실을 보도하면서 처음 세간에 알려졌다. 검찰은 당시 돈의 실체 규명이 초기단계이고 계좌 추적이 오래 걸리는 점등을 들어출입기자들에게 연말까지 보도자제(엠바고)를 요청했고 기자단은 이 요청을 받아들였다. 검찰은 엠바고 시한인 지난 연말께 "계좌추적 작업과 관련자 소환조사가 필요한데수사 기밀이 유출되면 수사에 장애가 많을 것"이라며 엠바고 연장을 다시 요청했으나 기자들은 엠바고 시한을 더 늦추기는 어렵다며 엠바고 요청을 거부했다. 결국 새해벽두인 지난 2일부터 안기부의 4·11 총선자금 지원 혐의 수사에 대한 언론의 추적이 시작됐고, 그를 계기로 이번 사건이 수면위로 떠오른 것이지 검찰이 자민련 의원 이적파문에 맞춰 이번 사건을 부각시킨 게 아니라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