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관광부는 2001년을 "지역문화의 해"로 지정했다. 그동안 각 분야별 예술의 해로 지정하던 것에서 벗어나 지난해 새로운 예술의 해로 지정되어 21세기 예술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것에 이어 올해 지역문화의 해를 지정한 것도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새로운 방향성을 예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화관광부는 아직 지역문화의 해 사업계획을 내놓지도, 지역문화의 해가 무엇을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한 개념도 발표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한국가의 문화는 지역문화의 총합에 다름 아니라는 인식에서 출발한 것으로 보여진다. 아울러 지역문화가 자치단체의 재정확보와 홍보를 위한 수단, 또는단체장의 선심성 행정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오던 것에서 벗어나 일관되고 전문적인 문화정책을 수립하라는 요구로도 받아들여진다. 한국문예진흥원이 매달 펴내는 〈문화예술〉 10월호가 지역문화의 해를 앞두고 집중기획으로 지역문화를 다루었다. 전문가 3명의 글이 실린 이 책을 통해 지역문화의 의미가 무엇이며 오늘날 지역문화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해본다. 지역문화운동가 지금종씨는 "문화가 이미 인간의 총체적 삶에 작용하는 메카니즘으로 실존하고 있는 것이 세계사적 흐름"이라면서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정치, 경제, 문화 등 각 부분의 유기적 관계수립과 이를 통한 징겨발전 전략을 수립해내지 못할 경우 경쟁력을 잃고 퇴락의 길로 접어들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그는 지방정부의 지역문화정책의 문제점으로 문화를 예술과 등가화하여 문화정책 범주 설정의 진부함, 전문성과 지속성의 부재, 장기계획과 추진체계 부재, 예산의 하드웨어 집중화 등을 꼽았다. 또 영국워윅대학교 문화정책연구센터 객원연구원 임학순씨는 "지역문화의 해 사업은 각 자치단체로 하여금 자기 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특성화된 문화사업이 무엇이고, 이러한 지역문화의 경쟁력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하는 동인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자치단체들이 기존의 문화정책 사업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지역의 특성과 문화환경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지역특성에 적합한 경쟁력 있는 문화계획을 전략적으로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울산의 지역문화정책은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모든 문제를 고스란히 안고 있다. 문화정책이 주민 복지라는 커다란 테두리안에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예술과 관광을중심으로 단편적으로 진행되고 있을 뿐만아니라 공간과 시설 설립의 하드웨어 중심으로 투자되고 있다. 또한 행정에도 전문가가 거의 투입돼 있지 않은데다 민간에요청을 하더라도 전문인력의 구조가 취약하다는 고질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사례가 주민들의 끊임없는 요구에도 불구하고 지역 문화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지역축제 하나 제대로 갖고있지 않다는 것이다. 유영대 고려대 교수는 "축제의 가장 큰 목적은 예전 어느 신화적 시기의 이상적인행복한 시점을 오늘 이곳에 재현시켜서 그것을 자신의 경험인 것처럼 만들어 주는 것"이라며 "그러나 지역에 대한 문화적 의식에 대한 진지한 성찰도 없이 졸속적이고 전시행정의 차원에서 일을 진행하다보니 유사축제, 가짜축제가 만들어지고 숫자는 많지만 별다른 내용이 없는, 그저그런 축제만 확대재생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명숙기자